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K-바이오·백신’ 2호 펀드 1566억원 결성…목표액 초과 달성

공동 출자 600억원·민간 출자 966억원 확보…연내 3·4·5호 조성 추진

2024.06.19 보건복지부
인쇄 목록

보건복지부는 지난 14일자로 프리미어 파트너스가 운영하는 ‘K-바이오·백신’ 2호 펀드 결성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 펀드의 규모는 최종 1566억 원으로, 정부 350억 원 및 국책은행(한국산업은행·한국중소기업은행) 250억 원과 민간이 출자한 966억 원을 합한 금액이다.

특히 이번 2호 펀드는 지난해 12월 15일 1146억 원 규모로 우선 결성해 조기 투자를 시작했는데, 이후 추가 조성을 통해 당초 목표액 1500억 원을 초과 달성했다. 

K-바이오 백신 펀드 운영체계(안)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
K-바이오 백신 펀드 운영체계(안)

제약·바이오 투자 활성화를 위해 결성한 K-바이오·백신 펀드는 혁신 신약 임상 2~3상과 혁신 제약 기술 플랫폼, 국내기업의 글로벌 진출, M&A 등 혁신 제약·바이오헬스 기업에 주로 투자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복지부는 지난해 3월 24일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에서 K-바이오 메가펀드를 1조 원 규모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3호 펀드 또한 지난 2월 13일 LSK 인베스트먼트를 운용사로 선정해 출자금을 모집 중으로, 오는 7월 말까지 1000억 원 목표로 결성해 투자가를 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오는 7월부터 각각 1000억 원 규모의 4호·5호 펀드 주관 운용사를 공모해 올해 말까지 모두 6000억 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국제백신연구소 연구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국제백신연구소 연구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바이오헬스 분야 투자 여건이 많이 어려운 가운데 K-바이오 1호 및 2호 펀드의 성공적인 결성이 투자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 역할이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바이오헬스 기업의 혁신기술 개발 및 글로벌 진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내 3·4·5호 펀드 조성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2호 펀드의 성공적 결성으로 K-바이오·백신 펀드는 지난해 11월 8일 1500억 원 규모로 결성한 1호 펀드(주관 운용사 유안타 인베스트먼트)와 합산하면 총 3066억 원이 결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의 :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 보건산업진흥과(044-202-2970)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