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AI가 문서 요약·작성…행안부, ‘AI 행정지원 서비스’ 시범운영

7월까지 행안부 7개 실·국 및 4개 소속기관 등 60명 대상으로

인공지능 공통기반 플랫폼 구축하는 ‘정보화전략계획’도 추진 중

2024.06.12 행정안전부
인쇄 목록

# 공무원 A씨는 ‘인공지능(AI) 행정 지원 서비스’가 도입되면 관련 업무매뉴얼, 법령·지침 등을 쉽게 찾아볼 수 있어 업무를 빠르게 파악하고 국민에게도 각종 행정서비스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7월까지 행안부 7개 실·국과 4개의 소속기관 약 6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행정 지원 서비스’ 시범운영을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문서 요약, 문서 초안 작성, 법령·지침 정보 검색, 정보공개 민원 관련 공무원의 행정업무를 지원하는 정부 전용 인공지능 서비스다. 

한편 행안부는 지난해 11월 LG와 SKT 등과 협업으로 서비스 시범 개발을 완료한 바, 데이터 유출 등의 방지를 위해 정부 업무망 내부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구축하고 추가 데이터 학습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 위치한 행정안전부.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 위치한 행정안전부.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번 시범운영은 지난해 개발한 서비스 중 인공지능 우선 적용이 가능하거나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업무 유형을 일반 행정업무 지원, 정보공개 업무지원 두 가지로 구분해 제공한다.

먼저 일반 행정업무 지원은 LG 개발 서비스를 활용해 문서 요약, 보도자료나 연설문 등 문서 초안 작성, 문서 검색 등 일반 행정업무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보공개 업무지원은 SKT 개발 서비스를 활용해 정보공개청구 민원 요약, 법령·매뉴얼·판례 등 판단 근거, 민원 답변서 초안 작성 등 정보공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행안부는 이번 시범운영을 통해 서비스 활용 사례, 서비스 이용 때 불편사항 등을 공유해 보완할 계획이다. 

보다 정확한 답변 도출을 위한 명령어 예시, 서비스를 통해 작성한 문서 등 사용자들 간 활용 사례를 주기적으로 공유하고, 행안부와 시범운영 기업 간 협의체를 운영해 서비스 기능을 개선한다. 

아울러 인공지능 활용성이 높은 업무 분야를 추가로 발굴해 서비스 기능 개선을 통해 오는 8월부터 10월까지 다른 중앙기관, 지자체로 확산할 방침이다.

한편 행안부는 인공지능 기술의 행정업무 적용 실현 가능성과 효용성 등에 관한 사전 검증을 지난해 4월부터 11월까지 진행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추진하고 있다. 

정보화전략계획은 범정부 인공지능 공통기반 플랫폼을 구축함과 동시에, 정부의 업무관리시스템에 인공지능 행정 지원 서비스를 적용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중앙부처, 지자체 등 시범운영 대상자의 다양한 의견을 모아 이번 ISP 및 향후 본 사업 구축 시 반영하기로 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인공지능 기반의 행정 지원 서비스가 공무원과 국민 모두에게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시범운영을 통해 실제 일하는 공무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일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의 전환점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문의 : 행정안전부 정부혁신국 정보공개과(044-205-2412)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