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식목일에 나무 심는 것이 실제로 효과 있나?

2021.04.05 산림청
인쇄 목록

식목일에 나무 심는 것이 실제로 효과 있나?

  • 4월 5일 식목일, 한 그루 심는다고 효과가 있을까요? 하단내용 참조
  • 식목일이란? 하단내용 참조
  • 식목일의 유래 하단내용 참조
  • “식목일에 나무 심는 것이 실제로 효과 있나요?” 하단내용 참조
  • “제가 한그루 심는다고 무엇이 달라지나요?” 하단내용 참조
  • “지구온난화가 식목일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요?” 하단내용 참조
  • 4월 5일 식목일 3월보다 더 앞당겨지지 않게 우리 같이 심어요. 하단내용 참조

◆ 식목일이란?
나무 심기를 통하여 국민의 나무 사랑 정신을 북돋우고, 산지(山地)의 자원화를 위하여 제정된 날

식목일의 유래
삼국 통일 성업을 완수, 조선 성종이 몸소 농사를 지었던 민족사와 농림사상에 매우 뜻있는 날일 뿐만 아니라, 계절적으로 청명(淸明)을 전후하여 나무 심기에 좋은 시기이므로, 1949년 대통령령으로 지정하였다.
* 성업 : 왕의 업적
* 내용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식목일에 나무 심는 것이 실제로 효과 있나요?”
1.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뿜어 만드는 대기질 개선 효과
2. 산사태와 가뭄 방지
3. 산림휴양
4. 생물다양성 확보
5. 온실가스 흡수
6. 열섬완화 등 간접적이고 공익적 효과 증가
* 내용참고 : 서울신문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톡] 1인당 249만원 효과 ‘식목일의 과학’

“제가 한그루 심는다고 무엇이 달라지나요?”
많은 사람들이 ‘나무나 숲 가꾸기’라고 하면 어렵고 거창하게 생각하는데 그럴 필요가 없다는 연구결과들이 많다. 도심 자투리 땅을 이용해 나무를 심거나 식물을 키우는 것만으로도 열섬 현상은 물론 대기오염까지 줄일 수 있다.
* 내용참고 : 서울신문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톡] 1인당 249만원 효과 ‘식목일의 과학’

“지구온난화가 식목일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요?”
산림청은 “지속적인 봄철 기온 상승과 이로 인한 나무의 생리적 변화 등을 고려할 때 식목일을 앞당길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라고 말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겨울철에 얼었던 땅이 녹는 시기 등이 빨라지고 있다. 나무는 묘목에 잎이 나기 전에 심어야 뿌리에 영양분이 잘 공급되는데, 최근 식목일 즈음에는 이미 잎이 나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있다. 새 식목일의 유력 후보로는 유엔(UN) 이 정한 세계 산림의 날인 3월 21일이나 전날인 3월 20일 등이 거론된다.
* 내용참고 : 조선일보 더워지는 봄날씨…4월 5일 식목일, 3월로 앞당기나

4월 5일 식목일, 3월보다 더 앞당겨지지 않게 우리 같이 심어요.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