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식품 정보, 이제 e-라벨로 확인하세요!

2024.06.21 정책기자단 박세아
인쇄 목록

나는 마트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영양성분표를 자세히 들여다보는 편이다. 그런데 글자가 너무 작아서 보기 힘들 때가 있기도 하고, 아울러 부모님이나 조부모님 세대는 보기 어렵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던 중 알게된 ‘e-라벨’.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시행하는 e-라벨 사업은 사업자가 표시해야 하는 원재료명, 영양성분, 업소 소재지, 품목보고번호 등을 QR로 제공하는 사업이다. 식의약 규제혁신 100대 과제 중 하나인 ‘식품 표시사항 QR코드 제공 확대’를 위해 해당 시범사업을 운영 중이다. 

e라벨 안내
e-라벨 안내.(이하 사진 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에는 반드시 제품명, 열량, 업소명, 소비기한, 보관 방법, 주의사항, 나트륨 함량 비교 정보를 표시해야 한다. 그런데 크기 자체가 작은 제품의 경우, 이 7가지 필수 표시사항에 원재료명, 영양성분 등까지 표기하다 보니 글씨도 작아지고 그만큼 가독성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 7가지 필수 표시사항을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스마트라벨인 QR코드로 제공하는 것이 바로 e-라벨이다. 즉, e-라벨이 도입되면서 제품 포장재에 필수 표시사항 외의 정보는 표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글자를 적을 공간 자체가 넓어지는 것이다. 

필수 표시사항은 글자 크기가 10포인트에서 12포인트로, 글자 폭은 50%에서 90%로 커지면서 가독성이 좋아졌다. 더불어 포장지 교체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고 하니, 환경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 같다. 

제품에 e-라벨이 붙어 있다.
제품에 e-라벨이 붙어 있다.

e-라벨 시범사업 제품인지는 제품 포장지의 QR코드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로고를 확인하면 된다. 또, 정보 표시면에 ‘QR표시 시범사업 제품’, ‘자세한 정보는 QR코드로 확인 가능합니다’ 등의 문구가 있으면 시범사업 제품이다. 

실제로 몇몇 제품들을 살펴보니 제품에 e-라벨을 도입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직접 마트에 가서 확인해보니 다른 제품들보다 훨씬 가독성이 좋다고 느껴졌다. 

e라벨 안내
e-라벨 안내.

직접 제품에 기재된 QR을 사용해보니, 훨씬 쉽고 편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좋았다. 또, 눈이 좋지 않으신 어르신 분들을 위해서도 유용한 정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QR코드를 활용할 줄 모르는 정보 취약계층에게는 이 방법이 더 어려울 수도 있겠다는 걱정도 됐는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Q&A 를 보니 이를 위해 ‘디지털 배움터’를 활용하고 있다고 한다.

e라벨 안내
e-라벨 안내.

디지털 배움터를 통해 고령층 등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QR코드 연계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교육한다고 하니, 혹시 e-라벨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해당 교육을 활용해 보는 것도 추천한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박세아 new220723@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