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소상공인 지식배움터에서 배우는 창업의 모든 것!

2024.06.18 정책기자단 진순영
인쇄 목록

대학생인 난 예비 창업자다. 친구와 함께 학교에서 창업 특강을 듣다 소상공인 지식배움터를 알았다. 이름만 보고는 소상공인만 들을 수 있는 사이트로 알았다. 하지만, 소상공인과 창업자가 아니어도 본인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강좌를 들을 수 있었다. 

소상공인 지식 배움터 카드뉴스 (출처=소상공인 지식 배움터)
소상공인 지식배움터 카드뉴스.(출처=소상공인 지식배움터)

소상공인 온라인 평생학습 서비스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운영하는 통합교육 플랫폼이다. 소상공인 지식배움터(https://edu.sbiz.or.kr/edu/main/main.do)와 소상공인 지식나눔터(https://eduopen.sbiz.or.kr/)로 구성됐다. 대상은 소상공인과 예비 창업자이다.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별도의 로그인과 회원가입 없이도 모든 교육을 무료로 학습할 수 있다. 단, 수료증 발급과 학습 이력 관리는 회원가입이 필요하다.

소상공인 지식 배움터에는 온라인 교육뿐만 아니라 본인의 상황에 맞는 추천강좌도 보여준다.
온라인 교육뿐만 아니라 본인의 상황에 맞는 추천 강좌도 보여준다.

소상공인 지식배움터는 소상공인과 예비 창업자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맞춤형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특히, 이론 위주의 온라인 교육뿐만 아니라 현장 교육도 받을 수 있다. 현장 교육은 별도의 교육비가 지원된다. 사업 주기별(창업-성장-재기)에 따라 준비된 맞춤형 실무교육과 오프라인 전문 기술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단, 교육 과정에 따라 지원 한도가 각각 다르니, 참고하기를 바란다. 

온라인 교육은 △창업·경영 △재기 △노하우 △가맹점 등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인의 사업 주기에 맞는 과정을 수강하면 된다. 학습이 끝나면, 온라인 교육 이수증도 발급된다. 만약, 현장 교육이 어렵다면 온라인 교육 수강을 추천한다. 

온라인 강의 중 ‘디자인 전략’ 수강 장면
온라인 강의 중 ‘디자인 전략’ 수강 장면.

온라인 교육 수강을 위해 회원가입을 했다. 온라인 교육은 개별 교육과 패키지 교육으로 구성된다. 본인의 상황에 맞는 업종과 과목 등을 선택해 검색하면 된다. 키워드로도 교육 강좌를 찾을 수 있다. 나는 예비 창업자에게 맞는 항목을 골라 강의를 수강했다. 총 112건의 강의가 검색됐다. 그중에서 상품 판매를 위한 강좌를 듣고 싶어 ‘디자인 전략’이라는 강좌를 선택했다. 수강 시간도 약 1시간 이내라 학습에 부담이 없었다. 

강의 수강 후 받은 수료증
강의 수강 후 받은 수료증.

만약,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모른다면 패키지 교육을 이용하면 된다. 분야도 다양하다. 가령, 반려동물 식품 제조, 주얼리숍, 무인카페, 의류 제조업 창업 등 총 60건의 강의가 있다. 이 외에도 북러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도서관과 유튜브를 이용한 실시간 교육도 있다. 혹시, 배움터 이용에 궁금한 점이 있다면 이용 가이드를 참고하면 된다. 회원가입부터 수료증 발급까지의 전 과정을 동영상으로 볼 수 있다.

소상공인 지식나눔터는 소상공인이 자신의 정보와 노하우 등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지식공유 플랫폼이다. 소상공인 지식배움터와 마찬가지로 회원가입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단, 동영상 콘텐츠 공유가 가능한 채널 개설은 소상공인24 회원가입이 필요하다.

소상공소상공인 지식 나눔터, 소상공인들의 지식, 노하우, 경험 등을 배울 수 있다.인 지식 나눔터
소상공인 지식나눔터, 소상공인들의 지식, 노하우, 경험 등을 배울 수 있다.

플랫폼에는 교육, 정보, 생활, 문화 등 여러 분류에 맞는 영상 콘텐츠가 즐비했다. 창업 자금이 없어 어려웠지만 그것을 극복한 사례부터 소상공인의 실감 나는 이야기까지. 소상공인이 본인의 지식과 경험을 아낌없이 보여주는 나눔터는 예비 창업자인 내가 창업을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대학 졸업 후 창업을 한다면, 지식을 배우는 입장에서 지식을 전해주고 싶다는 작은 소망이 생겼다. 이젠 창업 고민이 생긴다면 더 이상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진순영 sun653773@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