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장안의 화제! 청년희망적금 가입기

2022.02.25 정책기자단 전형
인쇄 목록

‘연 10%대 수준의 적금 금리! 이자는 비과세!’

정부가 청년들을 위해 파격적인 혜택의 상품을 선보였다. 그 이름은 바로 ‘청년희망적금’이다. 

청년희망적금, 드디어 출시됐다!(출처=금융위원회)
청년희망적금, 드디어 출시됐다!(출처=금융위원회)


청년희망적금의 인기는 가히 폭발적이다. 관련 뉴스와 게시물들이 끊임없이 올라오고 있다. 청년희망적금은 앱으로 가입할 수 있는데, 접속 오류로 불안감에 현장 창구를 찾는 청년들이 부쩍 늘었다고 한다. 나도 얼마 전에 은행 지점에 방문한 적이 있는데, 개점 시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하고 있는 청년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으니 말이다. 

취급 은행들이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미리보기 서비스를 시행했는데 정부의 예상보다 훨씬 많은 청년들이 미리보기 서비스를 신청했다. 당초 정부가 책정한 예산은 456억 원이다. 매달 최대치(50만 원)를 납부한다고 가정했을 때, 38만 명을 지원할 수 있는 예산이다. 그런데 미리보기 서비스 이용자만 200만 명이 넘었다고 한다. 

11개 은행 중 한 곳에서 가입할 수 있다.(출처=금융위원회)
11개 은행 중 한 곳에서 가입할 수 있다.(출처=금융위원회)


청년희망적금은 2월 21일에 출시된 청년 전용 금융상품으로, 직전 과세 기간(2021년 1~12월)의 총급여가 3600만 원(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인 만 19~34세 이하 청년이면 가입할 수 있다. 매월 50만 원 한도, 2년 만기다. 

은행별로 기본 금리에 우대 금리까지 더해준다. 잘 체크하기 바란다.(출처=KB스타뱅킹 앱)
은행별로 기본금리에 우대금리까지 더해준다.(출처=KB스타뱅킹 앱)


은행마다 조금씩 상이하지만, 별도의 조건들을 갖추면 연 6% 내외의 이자 혜택을 볼 수 있다. 정부가 ‘저축장려금’이라고 해서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를 지원한다. 여기에 이자소득세 15.4%를 면제해준다. 이것을 모두 합산하면 연 10%대의 이자 수익을 누릴 수 있다는 말이다. 대부분의 경우, 50만 원 한도로 저축한다면 2년 후에 100만 원이 넘는 이자를 수령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참으로 놀라운 혜택이 아닐 수 없다. 

출시 첫 주는 우리가 자주 경험한 ‘5부제’가 적용됐다. 28일은 영업일 운영시간 중 가입 대상에 해당되는 청년은 누구나 가입 가능하며, 3월 2~4일까지 신청할 수 있다. 가입자가 몰려 서버가 과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함인데 예상 이상의 청년들이 가입을 시도하면서 앱을 켜고 오랫동안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 또한 곳곳에서 들려왔다. 

나는 9일, 국민은행을 이용하여 미리보기 서비스를 신청했다. 가입 대상 여부는 3영업일 내 알려주기로 했는데 서민금융진흥원의 소득 확인이 지연돼 안내가 다소 늦어졌다. 이후, 가입 대상으로 선정돼 가입 전 최종 안내 문자와 상세한 설명이 담긴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친절한 안내문자 수신!
친절한 안내 문자 수신!


나는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빠르게 가입을 진행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출처=금융위원회)
나는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빠르게 가입을 진행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출처=금융위원회)


나는 5부제의 네 번째 날(89, 94, 99년생)인 24일 오전 10시경 가입을 진행했다. 미리보기 서비스로 대상자임을 인증받았기 때문에 가입은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접속이 지연되거나 버벅대는 부분도 전혀 없었다. 

최초로 가입한 금액은 10만 원. 매달 50만 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부 가능하다고 해서 나머지 금액은 월급이 들어오는 대로 납입하려고 한다. 

청년희망적금, 드디어 가입 완료!(출처=KB스타뱅킹 앱)
청년희망적금, 드디어 가입 완료!(출처=KB스타뱅킹 앱)


이번 청년희망적금은 코로나19 등으로 더 큰 어려움에 봉착해 있는 청년들에게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알짜배기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수많은 청년들이 청년희망적금에 주목한 것이 그 증거다. 이 적금에 가입한 청년들은 2년 후 만기금액과 풍성한 이자를 수령하면서 큰 기쁨을 만끽하는 상상을 할 것이다.

궁금한 점은 전화로 물어보자.(출처=금융위원회)
궁금한 점은 전화로 물어보자.(출처=금융위원회)


다만, 가입 문턱이 다소 까다롭다는 생각이 든다. 가능하다면 이후 추가 사업을 전개할 때 가입 조건을 완화하거나 납입액 한도를 더 풀어주는 방식 등으로 보완한다면 청년들의 더 큰 지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정책기자단 전형 사진
정책기자단|전형wjsgud2@naver.com
안녕하세요! 2019 정책소통 유공 대통령표창 수상자 전 형입니다. 제 17-19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유익한 정책이 국민들에게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