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북한상식)북한 주민들의자전거 이용

2001.06.14 국정홍보처
인쇄 목록
ㅇ 북한 당국은 오래 전부터 주민들의 자전거 이용을 널리 장려해 왔으며
99년부터는 평양시내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신설하고 당 기관지인 노동신문
등을 통해 수시로 자전거 이용의 장점과 운행 요령 등을 보도하고 있다.

ㅇ 북한에는 대중교통이 발달하지 못했고자가용 승용차가 거의 없기 때문에
주민들은 자전거를 최고의 교통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자전거가 가장
좋은 선물로 인식되기도 한다.

ㅇ 그리고 북한에서의 자전거 이용에는 우리와 다른 점이 있다.

- 우선 여성들은 자전거를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99년부터 우리 민족
고유의 미풍양속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여성들의 자전거 이용을 금지하였는
데 실제로 99.5월 북한 중앙TV는 「평양의 미풍을 잘 살려 나가자」라는
교양프로에서 여성들이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제멋에
겨워여성들이 자전거를 타는 것은 아주 꼴불견이며 혁명의 수도 평양의
풍치를 상실하게 한다"고 방송한 바 있다.

- 또 하나는 자전거 면허증과 자전거 번호판이다. 주민들이 자전거를 이용하
기 위해서는 먼저 인민보안성(경찰청)에서 자동차 면허시험처럼 일정한운전 및 교통안전 시험에 합격한 후 번호판을 부여받아야 한다. 면허증
제도는 97년 평양에만 실시하다가 99년에 전국적으로 확대하였으며 면허증
미소지, 분실, 교통위반시에는 벌금이 부과된다. 번호판은 지름 9cm 정도
의 원형 백색 철판에 적색글씨로 표기되며 위에는 지역 명칭을 쓰고 아래
에는 일련번호(예: 2-34)를 표기한다.

ㅇ 한편 북한 당국은 자전거 운행 규칙을 철저히 지키도록 강조하고 있는데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99.12 노동신문 보도)

- 도시에서 자전거는 도로표식에 따라정해진 길(우리의 자전거 전용도로)로만
다녀야 한다. 자전거 길이 따로 없는 도로에서는 차길 오른쪽으로부터 1m
안으로 다녀야 한다.

- 자전거는 한사람만 타야 하며 교차로에서는 교통지휘 신호에 따라 자전거를
타고 가거나 끌고 가야 한다.

-제동장치와 종(경적)이 없는 자전거는 타지 못하며 가로등이 없는 길로는
조명등이 없는 자전거를 타고 다닐 수 없다.

- 차가 다니는 길에 자전거를 세워둘 수 없으며 술을 마신 사람은 자전거를
타고 다닐 수 없다.

ㅇ 북한 주민들이 이동수단으로자전거를 필수품으로 여기고 있지만 일반 주민들
이 자전거를 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자전거 가격이 북한돈으로 1만원
정도 하기 때문이다. 일반 노동자의 임금이 월 100-150원인 상황에서 큰 돈이
라 할 수 있다.

“이 자료는 국정홍보처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