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인구감소지역 청소년·여성에 일·생활 균형 여건조성 등 지원

행안부·여가부 ‘현장 소통 간담회’ 개최…지역의 우수사례 등 공유

2024.07.05 행정안전부·여성가족부
인쇄 목록

행정안전부와 여성가족부가 인구감소지역 청소년·여성에게 지역 맞춤형 일·생활 균형 여건 조성에 나선다. 

이에 5일 공주시 청소년문화센터에서 인구감소지역 청소년·여성 지원을 위한 현장 소통 간담회를 공동으로 개최해 관련 정책을 발굴하기로 했다. 

특히 두 부처는 협업해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한 시책사업을 추진하는데, 앞으로 상호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인구감소지역 청소년·여성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서울 서대문구 모래내로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열린육아방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울 서대문구 모래내로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열린육아방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행안부와 여가부는 인구감소지역 내 청소년의 성장과 여성의 일·생활 병행을 지원해 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인구감소지역 청소년·여성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에 이번 현장 소통간담회는 지난달 17일 체결한 인구감소지역 청소년·여성 지원 업무협약의 이행을 위해 지역의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지원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먼저 간담회에서는 전문가가 참여해 청소년 주도의 지역별 특화프로그램과 인구감소지역 특성에 맞는 일·생활 균형 추진사례를 소개했다. 

김지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역별 특화 프로그램으로 구례군에서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 탄소중립 실천 프로그램 ‘흙기사’와, 삼척시에서 청소년이 주도하여 제안·기획·운영하고 그 수익을 지역에 기부하고 있는 카페 ‘한가람’ 사례를 공유했다. 

최유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본부장은 제천시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역 소재 중소기업 대상 일·생활 균형 여건 조성 기업 발굴 사례와 해남군에서 운영하고 있는 ‘엄마 교사가 활동하는 섬마을 공동육아방’ 사례 등을 소개했다. 

현장 소통 간담회에서는 현장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정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청소년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청소년 전용공간을 둘러보고 제공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살펴봤다.

아울러 공주시에서 수제품, 캔들 등을 판매하는 공유가게를 방문해 경력단절 여성의 창업 사례를 살펴보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특히 행안부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이 청소년 성장지원 또는 지역 맞춤형 일·생활 균형 여건 조성 등과 연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여가부 또한 인구감소지역 청소년·여성 정책의 우수한 사례를 발굴하고 성과를 확산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아동·청소년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여성 정착 및 일자리 특화지원 등을 통해 지역 내 다양한 자원 활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여가부는 청소년 성장지원 사업을 통해 지역 내 청소년들이 꿈과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체험활동을 제공하거나, 청소년들이 직접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불어 행안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해 조성한 우리동네 공동육아센터(가칭)를 통해 동네 부모들끼리 소통하고 공동으로 육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속 제공할 예정이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업무협약을 계기로 부처가 더욱 긴밀하게 협력해 인구감소지역 아동·청소년들이 자신의 지역에서 자부심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여성의 일·생활 균형 지원으로 지역사회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고기동 행안부 차관도 “인구감소지역 청소년과 여성이 지역에서 성장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지역의 활력이 되살아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 행정안전부 균형발전제도과(044-205-3509),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과(02-2100-6237), 성별영향평가과(02-2100-6181)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