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정부, 철도시설 지진 대응체계 점검…대규모 인명피해 예방

지진감시시스템 99개 전수 점검, 철도역사 등 시설물 안전상태 전반 확인

2024.06.26 국토교통부
인쇄 목록

정부가 최근 지진 발생에 대응해 철도시설 지진 대응체계 합동점검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와 합동으로 지난 25일부터 다음 달 15일까지 3주간 지진감시시스템 등 철도시설 지진 대응체계를 점검한다고 26일 밝혔다.

서울 용산구 서울역 플랫폼.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울 용산구 서울역 플랫폼.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최근 들어 국내 지진 발생 횟수는 2020년 5회, 2021년 5회, 2022년 8회, 2023년 16회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17년 11월 15일 포항에서 5.4 리히터, 지난 12일 전북 부안에서 4.8 리히터 규모의 큰 지진이 발생하는 등 최근 들어 국내 지진 발생 횟수는 점차 증가해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로 볼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철도 시설은 지진발생 때 인명·재산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돼 더욱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번 점검에서는 지진 발생 때 즉각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설비인 지진감시시스템에 대해 진동 측정, 경보 알림 등 정상 작동 여부를 중점 점검한다.

현재 철도역사, 교량, 변전소 등 대규모 철도시설에 설치된 99개를 전수 점검할 계획이다.

또한 해당 시설물 안전상태 전반을 확인하고 구로관제센터 및 대전관제센터 등 지진감시시스템의 총괄 모니터링 상황 및 대응 매뉴얼도 점검한다.

이상이 확인된 지진감시시스템은 즉시 수리하고 교체하는 등 즉각 조치할 계획이다.

정의경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내진설계와 안전점검뿐만 아니라 급박한 상황에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지진감시시스템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안심하고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철도시설에 대한 철저한 점검·관리와 함께 지진 모니터링 및 안전관리 대응체계를 상시 유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의 : 국토교통부 철도국 철도시설안전과(044-201-4624)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