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사망률 높은 ‘낙뢰 사고’…“낮은 지대·안전한 실내로 대피를”

발생건수 대비 사망률 19.4%…6월~8월 여름철에 90% 발생

2019∼2023년 낙뢰 사고로 119구급대 출동 31건…심정지 6건

2024.06.21 소방청
인쇄 목록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년) 낙뢰 사고로 119구급대가 출동한 건수는 31건이며, 이 중 19.4%인 6건이 심정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낙뢰는 90%가 여름철(6월~8월) 발생하는데, 등산 중 벼락 칠 때 바위 밑·물 고인 장소도 위험한만큼 낮은 지대 또는 안전한 실내로 이동해야 한다. 

이에 소방청은 발생건수 대비 사망률이 높은 낙뢰 사고 예방을 위한 ‘생활 속 안전습관 만들기’ 활동을 통해 대국민 인식 전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대구 중구 동산병원에서 낙뢰로 인한 대형화재 상황을 가정해 재난대응 훈련연습을 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대구 중구 동산병원에서 낙뢰로 인한 대형화재 상황을 가정해 재난대응 훈련연습을 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낙뢰 사고는 직격뢰, 측면 섬락, 지면 전류, 접촉 뇌격 등 4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유형에 따라 손발 저림, 감각 이상, 통증, 의식장애(실신) 등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심각할 경우 심정지로 이어진다. 

한편 월별로는 8월이 19건(61.3%)으로 가장 많았고 6월 6건(19.4%), 7월 3건(9.7%) 순으로 여름철에 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로는 낮 12시~오후 3시 16건(51.6%), 오후 3시~6시 9건(29%), 밤 9시~자정 3건(9.7%), 오전 9시~ 낮 12시 3건(9.7%) 순으로 낮 시간대가 28건(90.3%)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30대~50대가 절반 이상이었으며 남성 22명, 여성 8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뢰 사고의 발생 장소 및 상황을 살펴보면 등산 13건(41.9%), 서핑 5건(16.1%),  낚시 2건, 골프 2건 등 야외 레저활동 중 많이 일어났고 이 외 컨테이너 등 기타가 7건, 격납고 2건이었다. 

특히 낙뢰사고의 대부분은 실외에서 발생했지만 차 안이나 컨테이너 등 실내에서 일어난 경우도 5건으로, 건물 외부로 낙뢰가 떨어져 출입문 등 전기가 통하는 물체와 접촉한 상태에서 감전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했다.  

낙뢰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등산의 경우 정상 바위 근처에 서 있거나, 바위 밑에서 비를 피하다가 낙뢰가 바위로 떨어져 추락하는 경우, 낙뢰로 돌이 튀어 다친 경우, 전류가 흘러 감전되는 경우 등이었다. 

아울러 서핑 강습 중 바닷물에 발을 담근 상태에서 낙뢰로 다리 저림을 호소하거나, 낙뢰로 나무가 부러지면서 그 아래에 깔린 경우도 있었다. 

낙뢰 사고유형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
낙뢰 사고유형

이러한 낙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외인 경우 낮은 지대로 이동하거나 안전한 실내로 들어가고, 돌출 바위나 높은 나무, 물이 고인 장소 등 낙뢰가 떨어지기 쉽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장소에서는 멀리 떨어져야 한다. 

또한 실내에서도 전기가 흐를 수 있으므로 흐르는 물이나 금속제품을 사용하지 말고, 창문이나 문, 현관, 콘크리트 벽에 기대지 않아야 한다.

홍영근 소방청 화재예방국장은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고, 생활 속 안전습관 홍보로 낙뢰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사람이 알 수 있도록 널리 알리겠다”며 “앞으로도 소방청은 올바른 안전습관으로 생활 속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적극행정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자세한 예방법은 소방청 누리집(www.nfa.go.kr) 정책·정보 게시판 생활안전정보를 살펴보면 된다. 

낙뢰 사고예방법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
낙뢰 사고예방법

문의 : 소방청 생활안전과(044-205-7661)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