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쓰레기·분뇨로 바이오가스 생산…연 100만톤 온실가스 감축

환경부,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서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전략’ 보고

통합 바이오가스 시설 집중 지원…2026년까지 연 5억N㎥ 바이오가스 생산

2024.06.20 환경부
인쇄 목록

정부가 음식물류 폐기물,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으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해 연간 100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에 나선다.

환경부는 20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41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가축분뇨·음식물 등 유기성 폐자원의 친환경적 처리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전략’을 보고했다.

이번 전략은 지난해 12월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 및 이용 촉진법(약칭 바이오가스법)’의 시행으로 국내 바이오가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더욱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유기성 폐자원을 한층 탄소 중립적이고 부가가치가 높은 바이오가스로 전환하고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반시설 구축과 제도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

정부는 이번 전략으로 2026년까지 바이오가스를 연간 최대 5억N㎥(표준 입방미터)를 생산해 유기성 폐자원 연 557만 톤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2300억 원의 화석연료 대체 효과, 100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 등 1석 3조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유기성 폐자원 바이오가스화 공정. (자료=환경부)
유기성 폐자원 바이오가스화 공정. (자료=환경부)

먼저, 법 시행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를 안정적으로 추진한다.

바이오가스 법령이 제정됨에 따라 공공은 내년부터 유기성 폐자원을 대량 발생시키는 민간은 2026년부터 바이오가스 생산목표가 부여된다.

지난해 12월 전국 바이오가스 생산 규모를 고려해 2034년까지 공공은 50%, 민간은 10%로 목표를 설정했으며 향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때 공공은 하수찌꺼기, 가축분뇨,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책임이 있는 전국 지자체 235곳을, 민간은 대규모 가축분뇨 배출·처리자 및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자를 일컫는다.

원활한 제도 시행을 위해 이해관계자 대상 설명회를 추진하고 바이오가스 시설 현장조사와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등을 통해 합리적인 세부 운영 기준도 마련한다.

특히 바이오가스 직접 생산뿐 아니라 위탁생산 및 거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통합 바이오가스화 생산 기반 확충도 나선다. 바이오가스 생산 효율성을 높이도록 2종류 이상 유기성 폐자원을 동시 투입하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통합시설 설치 확대를 위해 인허가 절차는 간소화한다. 유기성 폐자원 투입 비율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하는 복잡한 보조율 방식을 단순화하는 등 제도를 개선하며 내년부터는 민간 의무 생산자도 지원한다.

아울러 동식물성 잔재물 등 그동안 바이오가스로 생산되지 않던 유기성 폐자원을 바이오가스로 생산하기 위한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통합 바이오가스화 기술 고도화를 위해 공정 효율성 향상, 생산 가스 고부가가치 전환, 잔재물 부가가치 확대 등 연구개발(R&D) 사업도 추진한다.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도를 개선하고 수요처도 다각화한다.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바이오가스 생산자가 도시가스와 인근 수소 생산시설 등의 수요처로 직접 공급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를 1만N㎥에서 30만N㎥로 늘린다.

이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쉽게 공급·이용할 수 있게 하고 전문기관의 연구 결과에 따라 바이오가스 신재생에너지 가중치도 재검토한다.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 생산시설 설치 사업도 잇달아 추진하고 특수목적법인(SPC) 설립 추진 등 사업화 방안을 마련해 바이오가스 활용 수소 생산을 위한 생태계를 조성한다.

이 밖에 최근 선박 탄소배출 규제 강화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청정 메탄올(선박 연료로 사용) 생산에 바이오가스를 활용할 수 있는 본보기(모델)도 발굴한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정부는 친환경 에너지인 바이오가스 활성화를 위해 공급과 수요를 동시에 키워나갈 수 있는 전략으로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며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 시행, 생산시설 확충 지원, 수요처 다각화를 위한 제도 개선 등으로 재생에너지 생산을 확대해 탄소중립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 환경부 생활하수과(044-201-7027)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