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펀드 분배금 배당소득 일원화, 업계 집행가능성 등 고려

2022.11.17 기획재정부
인쇄 목록

기획재정부는 “펀드 분배금을 배당소득으로 일원화하는 것은 업계의 집행가능성, 과세 형평성 등을 고려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11월 16일 머니투데이 <“사모펀드 다 망한다” 49.5% 세금 폭탄…금투세 ‘날벼락’>에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11.16.(목) 머니투데이는「(단독)“사모펀드 다 망한다” 49.5% 세금 폭탄…금투세 ‘날벼락’」기사에서, 

ㅇ “사모펀드가 세금 폭탄 날벼락을 맞을 운명에 처했다. 정부가 금투세 시행 2년 유예 내용을 담은 세법 개정안을 만들면서 사모펀드 투자수익에 양도세(22%) 대신 배당소득세를 적용키로 하는 내용을 포함한 것 때문이다“라고 보도  

[기재부 입장]

① 적격펀드 분배이익을 배당소득으로 일원화하는 것은 금융투자협회 등 업계 건의를 반영한 것입니다. 

ㅇ 올 초 정기세법 개정 검토 당시, 금융투자협회 등으로부터 현행안대로 분배이익을 원천에 따라 금융투자소득, 배당소득으로 나누어 과세하게 되면, 기준가격 관리 등 금융회사의 원천징수 시스템 구축이 어렵다는 금융회사의 건의를 수용한 것입니다.

적격집합투자기구 분배이익 소득구분

② 금융투자소득세 시행 전인 현재, 펀드 분배이익을 배당소득으로 과세하고 있으므로 시행 이후에도 지금처럼 배당소득으로 과세하려는 취지입니다. 

ㅇ 다만 금융투자소득세가 시행되면 모든 금융투자상품으로부터의 이익이 과세됨에 따라, 종전에 펀드 과세표준에서 제외되었던 국내 상장주식 매매·평가손익 등이 과세됨에 따라 과세표준이 증가하게 되고,

ㅇ 펀드 이익을 분배할 경우, 배당소득 금액이 증가하여 이자·배당소득이 연 2천만원 초과하는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최고 45%(지방세 포함시 49.5%) 세율로 과세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ㅇ 이렇게 과세되는 이유는 금융소득종합과세 제도 자체가 고액자산가에 대한 적정 과세를 위해 이자·배당소득이 연 2천만원 초과하는 경우 종합소득과 합산(6~45%)하여 과세하는 체계이기 때문입니다.

적격펀드 분배시 기준가격 및 과세표준
적격펀드 분배시 기준가격 및 과세표준

③ 이는 금융투자소득세 시행에 따라 상장주식 양도소득이 과세되면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문제로 정부는 금융투자소득세를 2년간 유예하여 시행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쟁점을 조정·보완하는 방안을 추진중입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금융세제과(044-215-4230)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