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독도해역 해저지형에 우리말 이름 ‘강치초’ 붙여

2015.01.06 국립해양조사원
인쇄 목록

독도해역 해저지형의 우리말 이름이 ‘강치초’로 정해졌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최근 국가지명위원회를 개최해 독도해역의 해저지형에 ‘강치초’라는 이름을 붙이고 공식적으로 사용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앞으로 ‘강치초’로 불리게 될 해저지형은 2014년 국립해양조사원의 동해로호를 활용한 동해와 독도 해역의 ‘해양지명 정밀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위도 37°14‘53“, 경도 131°51‘59“에 위치해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에 주소를 갖게 되며, 최소 수심은 약 14m이다.

독도주변 해도
독도주변 해도

‘강치초’라는 지명의 배경이 된 ‘강치’는 바다사자의 일종으로 조선시대에는 ‘가제’ 또는 ‘가지’로 불리며 동해에 수만 마리가 서식하였으나 일제강점기에 무분별한 남획으로 멸종됐다고 알려져 있다. 강치초 주변에는 강치가 머물렀다는 큰가제바위와 작은가제바위(육상지명), 가지초(해양지명) 등이 있어 그 역사적 의미가 한층 더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지명위원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결정되는 지명은 크게 육상지명과 해양지명으로 나뉘는데, 강치초는 해양지명 중 바다 속 지형의 이름인 해저지명에 속한다. 해저지명에는 해면 가까이에 있는 바위를 의미하는 ‘초’ 이외에도 해저분지, 해저산맥, 해령, 해구 등이 있다.

해양지명을 담당하는 국립해양조사원은 독도의 역사를 담고 있는 강치가 해저지형의 이름으로 사용돼 국민들이 독도와 동해의 지나간 역사를 되새기고 멸종된 강치의 소중함을 기억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도 국립해양조사원은 동해(East Sea) 표기와 해양지명에 관하여 국내외에서 관심과 인식이 더욱 높아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밀 해양지명 조사와 함께 해양지명에 관한 교육용 애니메이션, 웹 게임, 개도국 언어로 제작한 해양지명 웹툰 등을 통해 적극적인 홍보 활동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진준호 국립해양조사원 해도수로과장은 “해양 영토의 주권 강화를 위해서는 표준화된 지명의 사용이 중요하다”면서 “국립해양조사원은 우리말 해양지명을 제정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 해저지명 국제 심포지엄, 해양지명 교사 연수, 한국국제협력단(KOICA) 국제연수 등을 개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강치초’ 제정을 기념해 홈페이지(www.khoa.go.kr)를 통해 강치와 해양지명에 관련된 퀴즈 정답자에게 선착순으로 상품을 제공하는 이벤트도 실시할 예정이다.

문의 : 국립해양조사원 해도수로과 051-400-4340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