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으로 전국 농·축협서 금융거래 가능

이달 중 본격 서비스 개시…내년 추가 확대 등 금융권과 협의 예정

2023.11.13 국가보훈부
인쇄 목록

지난 6월 도입된 휴대전화(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을 소지하면 앞으로 전국 4800여 개 농축협 창구에서 금융거래할 수 있게 된다.

국가보훈부는 금융위원회·금융결제원·금융보안원 등과 함께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으로 대면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관련 시스템과 업무절차 등을 정비해 전국 농축협 창구에서 금융거래가 가능하다고 13일 밝혔다.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이미지=국가보훈부)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이미지=국가보훈부)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창구 금융거래는 금융권 중 농축협에서 처음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으로, 보훈부는 이달 중 전국 농축협 지점별로 원활한 시스템 작동 여부 등을 확인·보완한 뒤 시연회를 열고 본격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으로 금융거래가 본격적으로 가능해지면서 기존 카드 형태의 국가보훈등록증 활용 대비 본인 인증 등 절차 간소화와 함께 카드 위·변조 방지 등의 효과가 예상된다.

우선, 농축협 창구에서의 금융거래를 위해서는 직접회로(IC)가 탑재된 국가보훈등록증을 가까운 보훈관서를 방문해 본인확인 뒤 발급받아야 한다.

이후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휴대전화 신분증 애플리케이션(앱)을 본인의 휴대전화에 설치하고, 보훈관서에서 발급받은 직접회로가 탑재된 국가보훈등록증을 휴대전화에 접촉해 본인을 확인하면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이 발급된다.

발급받은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으로 계좌 개설 등 금융거래를 위해서는 농축협 영업점에서 제시하는 QR코드를 ‘휴대전화신분증 앱’에서 촬영하면 신원확인 뒤 거래할 수 있다.

보훈부는 카드 형태의 국가보훈등록증과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이 대면·비대면 환경에서 국가보훈대상자들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분증의 기능을 확대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등과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박민식 보훈부 장관은 “보훈부는 국가유공자를 비롯한 보훈대상자분들의 자긍심과 생활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국가를 위한 헌신을 예우하고 존경하는 보훈 문화가 사회 저변에 확산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 강구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휴대전화(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발급 안내문. (인포그래픽=국가보훈부)
휴대전화(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발급 안내문. (인포그래픽=국가보훈부)

문의 : 국가보훈부 보상정책국 등록관리과(044-202-5442), 금융위원회 금융산업국 은행과(02-2100-2676)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