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7년까지 농어촌 주민 등 지방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을 국민 평균의 83%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1일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하며 “역대 정부 이래 처음으로 수립하는 범정부 종합대책”이라고 밝혔다.
이어 “2027년까지 지방 디지털 경제 총생산액 30조 원, 지방대학 디지털 인재 지방 정착률 50% 등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지방 디지털 혁신 생태계 조성 ▲디지털 기반 지방 경제·사회 혁신 지원 ▲지방 혁신 선도 디지털 인재 양성체계 구축 ▲지방 디지털 정책 추진체계 확립을 추진한다.
먼저 디지털 기업이 1000개 이상 집적된 국가디지털혁신지구를 2030년까지 전국에 5개 이상 조성해 지방에도 판교 테크노밸리에 버금가는 디지털 신산업 및 디지털 전환의 전략적 구심점을 마련한다.
디지털 기업과 인재의 수요와 일치하는 지방 내 최적 입지에 지방정부가 주도해 중장기적인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 조성계획을 수립하면 중앙정부는 디지털 인프라, R&D, 교육시설, 정주환경 등의 지원을 고밀도로 집약한다.
제조(영남), 농업(호남), 의료·건강(강원), 재난안전(충청) 등 분야별 강점을 가진 권역을 주축으로 인공지능·데이터의 분야별 융합을 선도하는 ‘권역별 인공지능 융합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기초적인 정보화에 머물러 있는 지역 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을 인공지능·데이터 접목을 통해 고도화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외에도 지방 주력산업과 융합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디지털트윈 시범구역,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 메타버스 허브 등 디지털 신기술 기반도 지방에 본격 구축할 예정이다.
전체 디지털학과 전공자의 50% 이상을 배출하는 지방대학이 지방 디지털 생태계의 성장을 주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디지털 선도 지방대학을 육성한다.
이를 위해 2027년까지 비학위 디지털 고급전문교육 과정의 60% 이상을 비수도권에 안배해 지방기업이 수요로 하는 현장형 디지털 인재를 확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SW중심대학 등 디지털 인재양성사업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지자체 주도로 연계·협력해 지방 디지털 기업 창업·성장에 주축 역할을 하는 지방대학 인재의 육성 체계도 구축한다.
학과 설치 없이도 정원 확대가 유연한 계약정원제를 인재 수급이 시급한 디지털 분야를 중심으로 지방대학에 적극 도입할 예정이다.
특히 지방 농어촌 등 기초지자체까지 인공지능·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서비스 혜택이 골고루 확산될 수 있도록 스마트빌리지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이로써 디지털 서비스 중심의 디지털 SOC를 2027년까지 300개 이상 신규 확충하는 것이 목표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는 주민 안전, 복지 사각지대 지원, 지역경제 활력 회복 등의 과제를 중점 발굴해 지방주민 체감도를 높여갈 방침이다.
이 정책관은 “이번 방안 수립을 계기로 지방이 디지털 혁신 시대에 맞는 발전모델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지방시대위원회 등 관계부처와 협업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산업과(044-202-6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