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께 드리는 윤석열정부 국정운영보고 민생·경제first퍼스트

콘텐츠 영역

9월 취업자 30만 9000명 증가…고용률 ‘최고’·실업률 ‘최저’

취업자 증가폭 2개월 연속 확대…정부, 고용률·실업률 안정 흐름 유지 전망

2023.10.13 통계청·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 목록

9월 취업자수가 작년 동월 대비 30만 9000명이 증가하면서 2개월 연속 증가폭이 확대됐다. 

같은달 기준 고용률은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고를, 실업률은 최저를 기록하며 견조한 고용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23년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 수는 2869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30만 9000명(1.1%) 늘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9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9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월별 취업자 수 증가 규모는 지난 4월(35만 4000명)부터 5월(35만 1000명), 6월(33만 3000명), 7월(21만 1000명)까지 4개월 연속 둔화하다가 8월(26만 8000명) 반등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상에서 35만 4000명 증가했다. 50대와 30대에서도 각각 4만5000명, 5만 6000명 늘었지만 20대 8만 6000명, 40대 5만 8000명 감소했다. 20대 취업자는 지난해 11월부터 11개월 연속, 40대 지난해 7월부터 15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에서 증가했으나 제조업, 부동산업, 도매 및 소매업 등에서 전년동월대비 감소했다.

특히 제조업은 수출개선 등에도 불구하고 7만 2000명이 줄면서 지난 4월 이후 5개월만에 가장 큰폭으로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수는 건설기성 증가 지속 등으로 10개월만에 반등해 3만 6000명 늘었고, 농림어업도 농번기 기간 인력수요 증가로 3000명 줄어 감소폭이 축소됐다.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은 63.2%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p) 상승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작성 이후 9월 기준 가장 높다.

15∼64세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7%포인트 상승한 69.6%였다.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9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6.5%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8개월째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실업자는 66만 1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만 2000명 감소했고 실업률은 2.3%로 0.1%p 하락했다.

연령계층별 실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20대, 30대 등에서 감소했다.

교육정도별 실업률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중졸 이하에서 0.3%p 상승했으나 고졸에서 0.5%p, 대졸 이상에서 0.1%p 각각 하락했다.

과거 취업 경험 유무별 실업자의 경우 취업 무경험 실업자는 3만 5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 2000명 감소했고 취업 유경험 실업자는 62만 6000명으로 3만 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07만 1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2만 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연령계층별 ‘쉬었음’ 인구는 30대 등에서 증가했으나 20대 등에서 감소했으며, 구직단념자는 38만 명으로 4만 5000명 감소했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고용시장은 방한 관광객의 지속 유입 전망 등에 따라 숙박음식업 등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취업자수 증가 지속이 예상되며, 고용률·실업률은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유가 변동폭 확대, 고금리 장기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고용 리스크요인을 상시 예의주시하며 고용 호조세 지속을 위해 정책역량을 집중해 나갈 방침이다.

문의 : 통계청 사회통계국 고용통계과(042-481-2265), 기획재정부 경제구조개혁국 인력정책과(044-215-8532),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 미래고용분석과(044-202-7254)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