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팀코리아 파이팅! 2024 파리올림픽 / 사실은 이렇습니다 팀코리아 파이팅! 2024 파리올림픽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음악이 우리에게 줄 수 있는 힘

[클래식에 빠지다] 상실과 음악

2023.10.11 김상균 바이올리니스트
인쇄 목록

우리는 살아가며 많은 상실감을 경험한다. 사랑하는 사람과 가족 또는 동물로부터의 이별은 우리를 감당할 수 없는 우울감과 무기력증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게 만들어 놓는다. 

때때로 그러한 경험이 우리를 성숙하게 만들어주기도 하지만 문뜩 올라오는 괴롭고 주체할 수 없는 슬픈 감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음악은 상처받은 우리의 마음을 어루만져주기도 하고 위로해주며 힘든 고통의 감정으로부터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음악치료학이 있는 것처럼 음악이 우리에게 줄 수 있는 힘은 생각보다 크고 다양하다.

연극 <라스트세션>은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와 나니아 연대기의 작가 C. S. 루이스가 서로 만나 신과 인간에 대한 다양한 주제로 토론을 벌이는 2인극이다. 

연극에는 이런 에피소드가 나온다. 라디오로 전쟁상황을 듣고 있는 프로이트는 음악이 흘러나오자 라디오를 꺼버린다. 

루이스가 음악이 나올 때 마다 라디오를 꺼버리는 프로이트에게 그 이유를 묻자 프로이트는 무언가에 조종당하는 기분이 싫다며 개인주의의 양상일 뿐이라고 말한다. 

아마 프로이트는 과학이나 이론적으로 분석할 수 없는 음악에 자신이 감동받고 있다는 사실을 감당하기 힘들어 하였을 것이다. 

음악은 우리의 무의식을 자극한다. 인간의 행동패턴의 95%가 잠재의식과 무의식에 의해 추동 된다는 연구결과는 음악의 힘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강력한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과연 ‘음악’은 무엇일까.

서울 용산구 숙명여자대학교 제1캠퍼스 원형극장에서 숙명여대 축제인 <청파제>의 일환으로 열린 레이어스 클래식 초청 야외음악회에서 교수와 학생들이 공연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울 용산구 숙명여자대학교 제1캠퍼스 원형극장에서 숙명여대 축제인 <청파제>의 일환으로 열린 레이어스 클래식 초청 야외음악회에서 교수와 학생들이 공연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음악과 신체

음악치료학에 의하면 음악은 유쾌하지 않은 감정이나 소음으로부터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뇌파를 느리게 낮출 수 있고 원하는 수준으로 맞출 수도 있다. 

즉 베타파, 알파파등을 음악을 통해 조절하기도 하는데 이는 드보르작의 신세계교향곡과 모차르트의 음악을 감상한 사람들의 뇌파를 조사한 연구결과로도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음악은 호흡 맥박 혈압에 영향을 주는데, 여유 있고 느린 템포의 음악은 깊고 편안한 호흡을 통해 감정을 조절해주며 깊은 사고를 할 수 있게 해준다.

반면 빠른 템포의 음악은 심장과 호흡의 속도를 빠르게 만들며 사고를 산만하고 충동적이게 만들어주는 경향이 있다. 

그 밖에도 음악은 분위기를 통해 우리의 체온을 올려주기도 하고 떨어뜨려 공포감을 주기도하며 도파민의 분비를 촉진시켜 만족감과 행복감을 느끼게 해주기도 한다. 

이렇듯 음악은 우리의 정신적인 부분을 자극하여 우리 신체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음악들을 통해 우리는 감정을 해소하며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 받을 수 있을까? 

전반적으로 빠른 템포의 곡보다는 느리며 종교적 느낌의 작품과 조화롭고 부드러운 멜로디의 작품들이 우리의 마음을 안정시켜준다. 

아래 작품들은 필자가 개인적으로 애도와 추모, 추억을 느끼고 떠올릴 수 있는 곡들이라 생각해 소개한다. 

◆ Mahler Symphony.5 - Adagietto

슈만(Schumann)과 엘가(E.Elgar)가 결혼선물로 자신의 아내에게 사랑의 연가를 보낸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슈만의 <헌정(Widmung)>과 엘가의 <사랑의 인사(Salut d'amour)>가 그랬듯이 구스타브 말러에게 교향곡 5번의 4악장 아디지에토(Adagietto)는 아내가 된 알마(Alma Mahler)를 향한 사랑의 편지라 볼 수 있다. 

말러는 아다지에토를 작곡한 후 악보만 알마에게 보냈으며, 곡의 아름다움과 의도를 알아챈 알마는 답장으로 만나러 오라는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

타악기와 관악기를 쉬게 하고 오직 현악기와 하프만으로 시작되는 아다지에토는 서정적이며 시적인 선율이 마음속 잔잔한 물결을 만들어 낸다. 

하프가 밑에서 조용히 파동을 만들어내면 현파트의 선율들은 마치 빛이 물결에 부딪치듯이 서서히 일렁인다. 아름다운 선율의 움직임은 물결처럼 고조되기도 하였다가 다시 평온해지며 끝 모를 피안의 저편으로 넘어간다. 

말러의 알마에 대한 숨길 수 없는 사랑의 파노라마가 느껴지는 아다지에토는 그의 변환기 중기작품인 교향곡 5번으로 연주되지만 따로 독립적으로 연주되는 가장인기 있는 곡 중 하나다. 

말러의 가장 아름다운 작품 중 하나이며 연가(戀歌) 형식으로 작곡되었지만 루치노 비스콘디(Luchino Visconti)감독의 영화 <베니스에서 죽다>와 J.F 케네디의 장례식에서 연주된 곡으로도 유명하다. 

아마도 많은 이들은 말러의 연가를 통해 소중했던 이와의 아름다웠던 추억과 영원함을 떠올렸을 것이다. 

가곡의 멜로디를 사랑했던 말러는 아다지에토의 두 번째 주제 멜로디를 뤼케르트(Ruckert)의 시에 의한 5개의 가곡 중 세 번째 <나는 세상에서 잊혀졌네(Ich bin der welt abhanden gekommen)>에서 가져왔다. 

아다지에토를 통해 우리는 혼란한 삶 속에서 사랑과 안식을 갈구하는 말러의 모습을 느낄 수 있다.   

◆ Schubert - String Quintet

첼로 두 대가 함께 연주하는 현악5중주 작품은 드물다.  슈베르트의 현악5중주는 현악사중주에 첼로가 한대 더 포함되어 소리의 깊이를 더하고 있으며, 작품의 완성도와 아름다움 또한 모든 작품 중 최고라 할 수 있다. 

피아니스트 루빈스타인(Arthur Rubinstein)은 자신의 장례식에서 피아노 곡이 아닌 슈베르트 현악5중주의 2악장 아디지오(Adagio)를 연주해달라고 부탁하였다. 

조용히 읊조리듯 시작해서 폭풍우처럼 몰아치는 중반부분을 지나 다시 처음의 멜로디로 돌아오는 2악장은 인간의 숭고함과 의지 등 마치 우리 인생의 여러 장면을 느끼게 해준다. 

슈베르트가 죽기 두달전에 완성한 말기 작품인 현악5중주는 1850년 슈베르트 사후 비엔나 뮤직페어라인(Musikverein)에서 초연되었다. 

이전에도 모차르트, 하이든, 보케리니등 여러 현악5중주 작품들이 있었으나, 슈베르트의 현악5중주는 실내악곡의 새로운 세계를 열어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악곡의 구성은 1시간에 가까운 긴 연주시간에도 불구하고 지루할 틈 없이 쏟아져 나오는 영감과 고귀한 멜로디들 그리고 다양한 분위기를 통해 곡의 음악적 철학과 방향을 느끼게 해준다. 

때로 인간 감정의 깊이를 가늠할 수 없게 들려주고 있는 이 걸작은 한동한 묻혀져 없어질뻔했는데, 브람스와 슈만등의 노력으로 세상에 빛을 볼 수 있었다. 

너무 이른 서른 한살의 나이로 좁은 다락방에서 세상을 떠난 슈베르트의 말기 작품을 듣고 있으면 그가 조금만 더 살았더라면 우리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해주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 Mozart Clarinet Concerto in A - Adagio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의 테마곡으로 널리 알려진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은 모차르트 유일의 클라리넷 협주곡이자 그의 마지막 협주곡 작품이다. 

모차르트가 죽기 2달전 완성한 클라리넷 협주곡은 그의 말기 작품답게 완성도가 높은 곡으로 당시 클라리넷이란 악기가 솔로 악기로 주목 받지 못하던 시절, 악기의 위상을 올려놓은 계기가 된 작품이기도 하다. 

사실 이 협주곡은 바로크 시대 많은 사랑을 받았던 바셋호른을 위해 작곡된 곡을 클라리넷 작품으로 편곡한 작품이다. 이 곡을 작곡할 당시 모차르트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때 모차르트를 위해 많은 도움을 주었던 궁정음악가이자 당대 최고의 클라리넷 연주가 안톤 슈타들러(Anton Stadler)는 클라리넷 협주곡을 의뢰하였고 모차르트도 그를 위해 작곡하였다. 

서정적이며 아름다운 멜로디로 우리의 마음을 움직이는 유명한 2악장은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를 통해 광활한 대자연과 인간의 사랑을 떠올리게 만들어준다. 

영화 속에 음악이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2악장이 아니었다면 영화의 분위기와 느낌이 같았을까 할 정도로 음악이 영화에 미친 영향력은 대단하였다. 

정확한 사료는 없으나 이 작품의 초연은 의뢰자였던 슈타들러에 의해 프라하에서 초연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공연에 대한 청중들의 반응 역시 성공적이었다고 전해진다. 

일각에서는 자필서명 악보가 발견되지 않은 점과 슈타들러가 쓰던 클라리넷이 현대의 클라리넷과 다르다는 점, 그리고 악장간의 완성도 차이를 들며 의문을 표하기도 하지만 작품의 아름다움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2악장은 아다지오는 협주곡 전체의 모놀로그와도 같다. 부드러운 현악기의 반주가 시작되면 그 위에 천천히 독백하듯 말하고 있는 클라리넷의 솔로가 등장하며 이후 잠시 혼자 연주하는 카덴차를 지나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부드럽게 사라지고 있다. 

마치 아름다움과 소중한 것도 영원할 수 없고 언젠가는 사라지듯이 말이다. 

☞ 추천음반

말러의 교향곡5번 4악장 아다지에토는 연주속도에 대한 이견들이 있다. 이 작품에 대한 확신을 갖고 있는 카플란(Gilbert E. Kaplan)과 맹겔베르크(W.Mengelberg)는 말러가 약간 빠른 속도로 연주하길 원했다고 하였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리카르도 샤이(Riccardo Chailly)나 그보다 약간 빠른 아바도(Claudio Abbado)의 음반을 추천 드리고 싶다. 텐슈테드(Klaus Tennstedt)와 번스타인(L.Bernstein)의 연주 역시 많은 애호가들에게 사랑 받고 있다.

슈베르트의 현악 5중주 작품은 70년대 나온 멜로스 사중주단(Melos Quartett)과 첼리스트 로스트로포비치가 함께한 음반을 추천 드리고 싶다. 

로스트로포비치(Rostropovich)가 에머슨 사중주단(Emerson String Quartet)과 함께한 음반도 좋지만 개인적으로 멜로스 사중주단의 음반을 선호한다. 

빈을 중심으로 활동한 세계적인 알반베르크 사중주단 (Alban Berg Quartett)과 첼리스트 하인리히 쉬프(Heinrich Schiff)의 음반 또한 명연이다.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역시 많은 명반들이 존재한다. 대중적으로는 카라얀과 베를린필하모닉 시절을 함께한 칼 라이스터(karl Leister)의 음반이 고전의 명반으로 꼽힌다. 

또한 네빌 마리너(Sir Neville Marriner)의 세인트 마틴 인더필즈(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와 아들 앤드류 마리너(Andrew Marriner)의 음반도 좋다. 

현재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스웨덴 클라리넷 연주가 마틴 프로스트(Martin Frost)의 감각적인 연주도 추천 드리겠다.

김상균

◆ 김상균 바이올리니스트

서울대 음대 재학 중 오스트리아로 건너가 비엔나 국립음대와 클리블랜드 음악원 최고연주자과정 최우수 졸업. 이 후 Memphis 심포니, Chicago civic오케스트라, Ohio필하모닉 악장 등을 역임하고 London 심포니, Royal Flemisch 심포니 오디션선발 및 국내외 악장, 솔리스트, 챔버연주자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eigenartig@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