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뇌심질병 판단, 근로시간 외에도 다양한 요인 복합적 고려

2023.04.06 고용노동부
인쇄 목록

고용노동부는 “뇌심질병 판단은 근로시간 외에도 근무일정과 작업환경 등 다양한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한다”면서 “따라서 뇌심 질병 인정을 위한 절대적 근로시간 기준은 현재 정립된 바 없으며, 기사가 인용한 통계가 근로시간별로 뇌심 질병의 위험성을 인정한 것으로는 볼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4월 5일 경향신문(인터넷) <주 69시간 괜찮다?…52시간만 넘겨도 과로사 산재인정률 ‘훌쩍’>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ㅇ(경향신문) 과로사로 사망한 노동자들의 산재 인정률이 주 평균 52시간 노동을 기준으로 크게 치솟는 것으로 나타났다…(중략) 발병 전 12주간 1주 평균 ‘52시간 이상∼60시간 미만’ 일한 노동자의 과로사 산재 인정률은 73.3%로 나타났다…(중략) 발병 전 12주간 1주 평균노동시간이 ‘56시간∼60시간 미만’인 경우 산재 인정률은 83.7%, ‘60시간 이상∼64시간 미만’인 경우 92.2%로 나타났다.

ㅇ(미디어오늘) 노동시간이 주 52시간에서 4시간 증가할 때마다 뇌심혈관계질병 사망 산재 인정률이 10%p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중략) “현재 법원의 산재소송 판결이나 정부의 산재 인정 실무를 보면 주 60시간이나 64시간이 아니라 주 52시간을 기준으로 업무 과중 여부를 판단하는 추세”라면서…

[고용부 설명]

□ 뇌심 질병의 특성상 근로시간이 증가하면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사실이나, 근로시간 외에도 근무일정, 유해한 작업환경에의 노출, 육체적 강도, 정신적 긴장 등 다양한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업무관련성을 평가하는 것임

ㅇ따라서 뇌심 질병 인정을 위한 절대적 근로시간 기준은 현재 정립된 바 없음

□ 따라서, 기사가 인용한 통계가 근로시간별로 뇌심 질병의 위험성을 인정한 것으로는 볼 수 없음

ㅇ 기사가 인용한 통계는 현재 우리부 고시가 뇌심 질병에 대한 산재 인정 여부에 관한 요건을 주 최대 52시간의 근로시간 한도를 기준으로 달리 정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판단함

설명내용

□ 아울러, 법원은 우리부의 뇌심 질병 인정에 대한 고시를 참고하는 것이지, 주 52시간을 뇌심 질병 인정을 위한 업무 과중의 절대 기준시간으로 삼고 있지 않음

ㅇ 판결 내용에는 복합적 원인이 나열되고 업무시간만을 인정사유로 확인하고 있지 않음. 따라서 법원이 주 52시간 기준으로 업무 과중 여부를 판단하는 추세라는 내용은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움

문의 :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정책관 산재보상정책과(044-202-8835), 근로복지공단 산재보상국 업무상질병부(052-704-0431)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