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게임이용장애 국내 도입여부, 국가통계위원회 심의 통해 결정 계획

2023.04.05 국무조정실
인쇄 목록

정부는 “게임이용장애 국내 도입 여부는 민관협의체 결정을 토대로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를 통해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4월 5일 국민일보 <‘게임이용장애’ 논의 ‘민관협의체’ 있으나마나>에 대한 국무조정실의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  국민일보는 4.5일 「‘게임이용장애’ 논의 ‘민관협의체’ 있으나마나」제하의 기사에서,

○ 게임이용장애의 국내 도입은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로 지난해 민관협의체 회의에서 통계청 참석자는 “WHO 결정이 번복되지 않는 한 게임이용 장애를 그대로 수용할 수 밖에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였고,

○ 당초 도입 여부를 판단하겠다며 출범한 민관협의체는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일을 중재하겠다며 전시행정을 한 모양새가 됐으며,

○ 민관협의체는 무용론이 불거진 뒤 활동히 급격히 냉각되어 지난해 10월 회의 후 지금까지 관련 모임이 없다고 보도하였습니다.

[국무조정실 설명]

□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 여부는 아직까지 결정된 바 없습니다.

○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 여부에 대하여 민관협의체(‘19.7월~)에서 논의 중이며, 동 협의체의 결정을 토대로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결정할 계획입니다.

※ 통계법 22조에 따라 국제표준분류를 기준으로 국내표준분류를 작성하되, 국내 여건과 상황을 감안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분류체계를 작성, 운영하고 있습니다.

□ 민관협의체는 그동안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 여부의 결정을 위해 관련 연구를 실시하였고,

* ①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등재 과학적 근거 분석 연구 ②게임이용장애 실태조사 기획 연구 ③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에 따른 파급효과 연구

○ 이 중, 「게임이용장애 실태조사 기획연구」에서 도출한 진단도구의 타당성 등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어, 지난 9차회의(22.10월)에서 기존 용역 결과를 보완하기 위한 용역*을 실시하기로 결정한 바 있습니다.

* 국내 실태조사를 위한 진단 도구 보완 연구 용역

○ 이에, 민관협의체 차기 회의는 재검증 용역의 연구 진행 상황에 따라 개최 일자를 결정할 계획으로, 관련 연구용역은 현재 연구수행기관 선정 후 세부계획 수립 중에 있으며 4월중 연구에 착수할 예정입니다. 

□ 민관협의체는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 여부가 사회적 논란이 큰 만큼 과학적 근거를 통해 합리적인 결정을 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나갈 계획입니다.

문의: 국무조정실 사회복지정책관실 보건정책과(044-200-2294)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