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예술인 산재 보호 방안 마련 추진 중

2023.04.03 고용노동부
인쇄 목록

고용노동부는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기관과 함께 예술인 산재 보호를 위한 방안 마련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4월 3일 파이낸셜뉴스 <직업병 시달려도…산재보험 문턱 못 넘는 예술인들>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ㅇ 전문가들은 특수형태로 근로하는 예술인들에게 산재보험 가입 문턱이 높은 만큼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ㅇ 산업재해보상법에 따르면 예술인들은 플랫폼 회사 등 문화예술기획자에게 고용돼 상시적으로 근로하지 않으면 산재보험을 스스로 가입하여야 한다. 

ㅇ “똑같이 근로를 제공하는데 일반 근로자와 다르게 굳이 차별을 해야 할 이유도 없고 사용자가 보험료를 다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용부 설명]

□ 예술인에 대한 산재 보호 확대는 취약계층 보호를 중시하는 현 정부의 중요 관심사 중 하나로 고용노동부는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기관과 함께 작년부터 예술인에 대한 산재 보호 강화를 연구용역, 현장 의견 수렴 등을 진행하고 있음  

ㅇ 다만 예술인은 일반 근로자와 달리 예술인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고용 형태가 다양*하며 프로젝트 등 비정기적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아 현재 일반근로자에게 적용하는 산재보험 적용 방식을 동일하게 적용하기에는 한계

* 예술분야는 크게 기초예술분야(공연, 문학, 시각예술 등)와 대중예술분야(문화산업분야)로 분류, 예술인들은 1인프리랜서(용역계약), 근로계약, 사용주 등 업무에 따라 고용형태가 다름

** 코로나 이전 ’19년 기준 평균 공연일수는 연극 38.7일, 무용 9.2일, 양약 11.2일, 국악 17.7일 등 

ㅇ 이에 고용노동부는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기존 예술인 산재보험 적용방식 이외에 노무제공자 적용 방식, 예술인 사고율·실가입율 등을 고려한 요율산정 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중장기적인 산재 보호 방안을 마련 중에 있음

* ’12년부터 예술인들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상의 중·소기업 사업주 특례 적용을 준용하여 임의가입 가능하며, 12개의 기준보수(1등급 2,340,860원 ~ 12등급 7,483,590원)에 따라 약 월 16,386~52,385원(예술전문서비스업 기준)의 보험료 중 스스로 선택하여 납부

□ 고용노동부는 앞으로도 예술인을 포함한 취약계층에 대해 사회안전망을 지속적으로 강화해가도록 하겠음

문의 :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정책관 산재보상정책과(044-202-8831)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