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고용정책심의회 통해 필수업무 종사자 보호·지원 차질없이 뒷받침

2022.09.08 고용노동부
인쇄 목록

고용노동부는 “고용정책심의회를 통해 필수업무 종사자 보호·지원을 차질없이 뒷받침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9월 8일 한겨레 <정부위원회 246개 통폐합된다>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ㅇ 일부 위원회에 대해선 무리한 통합이라는 지적도 있다. 고용정책심의회로 통합예정인 ‘필수업무 지정 및 종사자 지원위원회’가 그중 하나다.

-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만들어진 ‘필수업무 지정 및 종사자 보호·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라, 지난 2월 출범한 이 위원회는 필수업무의 지정, 필수업무종사자의 보호·지원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기능을 한다.

[고용부 설명]

□「필수업무 지정 및 종사자 지원위원회」를 「고용정책심의회」로 통합·조정하는 것은 필수업무 종사자의 고용안정과 건강 보호, 처우개선 등을 위해 필요한 종합적인 시책을 효과적으로 수립·지원코자 하는 취지임

□ 고용정책심의회는 일자리와 관련되는 다양한 안건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의결하는 가장 핵심적인 심의기구로,

ㅇ 지역고용심의회, 지역노사민정협의회 등을 통해 지역과도 긴밀히 연계·협업체계가 구축되어 있음

□ 대규모 재난 대부분이 지역사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중앙-지역이 종합적 방안 검토와 공동 대응할 사안이며,

ㅇ 특히 필수업무 종사자에 대한 보호·지원은 근무환경·처우개선을 넘어 근본적으로 고용안정, 인력수급 등 고용정책의 차원에서 지원방안을 살펴볼 필요성이 높은 만큼, 

ㅇ 중앙부처, 노사,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고용정책심의회를 활용하는 것이 내실 있는 방안 마련에 더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통합을 하게 된 것임

□ 향후 보다 심도있는 논의를 위해 전문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위원회 기능조정을 통해 필수업무 종사자 보호·지원체계가 더 강화되고,

ㅇ 종합적·근본적인 방안 검토, 중앙-지방간 협업 강화 등 제도운영의 실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 더욱 내실 있게 운영해 나갈 계획임

문의 :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관 근로기준정책과(044-202-7527)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