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고향사랑e음 시스템,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

2023.04.12 행정안전부
인쇄 목록

행정안전부는 “고향사랑e음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면서 “특히 보다 편리한 이용을 위해 고향사랑e음 시스템을 6월까지 개편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4월 12일 세계일보 <로그인에서 답례품 선택까지 11단계…속 터지는 ‘고향사랑e음’>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입장입니다

[기사 내용]

- 고향사랑e음 시스템의 기부 절차가 복잡

- 유지보수비 243개 지자체 동일 분담으로 소규모 지자체 난감

- 지정기부제 도입, 해외동포 및 법인 참여, 민간플랫폼 개방 등 개선 필요

[행안부 입장]

○ (시스템 관련) 2023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고향사랑기부제를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하여 ‘고향사랑e음’시스템을 개통하여, 많은 국민들께서 기부와 답례품 선정에 이용하고 있습니다. 

- 운영초기에 발생한 불편사항은 지속적으로 개선 중이며, 특히 보다 편리한 이용을 위해 고향사랑e음 시스템을 6월까지 개편할 예정입니다.

- 한편, 디지털 사용이 어려우신 분들을 위한 대면접수 창구*도 지속 확대하겠습니다. 

* 현재 전국 농협 5,900여개 지점에서 대면접수 창구 운영

○ (기금 및 비용) 행안부는 상반기까지 지자체에 기금운용계획을 마련하도록 하여, 지자체별로 지정기부를 포함한 기금운용계획을 마련 중에 있습니다. 

- 또한, 제도를 처음 시행하는 과정에서 모든 지자체와 협의를 거쳐 균등하게 시스템 구축 비용 등을 분담하였으나, ’24년부터는 모금액 등 시스템 이용도를 반영하여 차등 적용하는 등 합리적으로 조정하겠습니다.

○ (제도) 고향사랑기부제는 기부강요 등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기부한도(500만원), 타인 명의 기부제한, 주소지 제한, 답례품 제한(기부금의 30%) 등의 장치가 있습니다.

- 주소지 및 기부한도 등 확인을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를 조회하여야 하므로 현 단계에서는 민간플랫폼 이용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 향후, 고향사랑기부제가 정착되고, 고향사랑기부와 관련한 제한 사항이 완화된다면 민간플랫폼의 참여도 검토하겠습니다.

문의 : 행정안전부 지방자치균형발전정책실 균형발전제도과(044-205-3448)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