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께 드리는 윤석열정부 국정운영보고 민생·경제first퍼스트

콘텐츠 영역

글로벌 최저한세 제도, 국제 합의일정 따라 법제화 진행

2023.01.18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 목록

기획재정부는 “글로벌 최저한세 제도는 국제적으로 합의된 일정에 따라 법제화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1월 18일 한국경제 <‘글로벌 최저한세’ 과속입법…부메랑 되나>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입장입니다

글로벌 최저한세 제도, 국제 합의일정 따라 법제화 진행

[기사 내용]

ㅇ 업계관계자 의견을 인용하며“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 경쟁국은 제도 도입의 유불리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데, 한국이 무턱대고 법안을 서둘러 통과시킨 것 아니냐”고 보도

[기재부 입장]

□ 글로벌 최저한세는 국제적으로 합의된 일정에 따라 추진되고 있습니다.

ㅇ 글로벌 최저한세는 OECD/G20 포괄적 이행체계(IF)* 제13차 총회 및 G20 정상회의('21.10)에서 '23년 이후 시행하기로 이미 합의·추인되었으며,

* Inclusive Framework : OECD/G20 주도로 디지털세 협상 및 조세회피(BEPS) 대응 등 국제조세개혁을 추진하는 회의체(최근 아제르바이잔 합류로 現 142개국 참여중)

ㅇ 우리나라를 비롯한 유럽연합(EU)*, 영국** 등 주요국들은 이와 같이 국제적으로 합의된 일정에 맞춰 입법 및 시행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EU는 관련 입법지침을 발표(’21.12)하고 ’24년부터 시행하기로 회원국간 합의(’22.12)

** 영국은 ‘24년 시행을 목표로 ’22.7월에 입법초안 이미 공개

□ 국가마다 자국의 국내 사정에 따라 입법시기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제도의 구조상 합의된 일정보다 늦추기는 어렵습니다. 

ㅇ 동 제도를 도입하지 않을 경우, 실효세율이 15% 미만인 저율과세기업에 대한 자국의 과세권이 제도를 먼저 도입한 다른 국가에게 이전*되므로, 아직 입법을 하지 않은 국가들도 도입을 계속 늦추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 (예시) 우리나라에 본사를 둔 기업의 해외 자회사가 저율과세되었을 때, 우리나라가 글로벌 최저한세 제도를 도입한 경우에는 우리나라가 과세권을 행사할 수 있으나, 도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해외 자회사가 소재한 국가(예: EU회원국)가 저율과세된 부분에 대하여 과세권을 행사

□ 글로벌최저한세 제도는 국가 간 조세경쟁을 방지하여 공정한 경쟁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고 이러한 배경 하에 국제적 합의로 마련된 기준이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특정 국가의 기업만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 정부는 디지털세 도입과 관련하여 기업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해 왔습니다.

ㅇ 그간 글로벌 최저한세를 비롯한 디지털세 관련 진행상황에 대하여 수차례 보도자료를 배포*하였고 기업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지속적으로 업계와 정보를 공유하였으며,

* ‘21년 디지털세 최종합의문 공개 등 3회, ’22년 디지털세 진행상황 보고서 등 7회 

ㅇ '22년 세제개편안 발표 전에도 글로벌 최저한세 도입 관련 공청회를 개최('22.6.28.)하는 등 기업들이 변화된 제도를 숙지하고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소통해 왔습니다.

□ 정부는 주요국들의 글로벌 최저한세 도입상황 등을 지속적으로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ㅇ 법률이 개정된 후 이번에 관련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하지 않은 것도 주요국들의 도입상황을 고려한 것이며,

ㅇ 앞으로도 주요국들의 시행시기 및 진행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필요시 추후 입법방향에 반영할 예정입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세제실 신국제조세규범과(044-215-4250)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