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자전거를 인도에서 타도 될까?

일상 속 알아두면 좋은 법 - 도로교통법 편

2022.03.14 법제처
인쇄 목록

자전거를 인도에서 타도 될까?

  • 일상 속 알아두면 좋은 법 ‘도로교통법편’ 하단내용 참조
  • 일상 속 알아두면 좋은 법 ‘도로교통법편’ 하단내용 참조
  • 일상 속 알아두면 좋은 법 ‘도로교통법편’ 하단내용 참조
  • 일상 속 알아두면 좋은 법 ‘도로교통법편’ 하단내용 참조
  • 일상 속 알아두면 좋은 법 ‘도로교통법편’ 하단내용 참조
  • 일상 속 알아두면 좋은 법 ‘도로교통법편’ 하단내용 참조
일상 속 모든 법령을 다 알 때까지! 일상 속 알아두면 좋은 법!
‘도로교통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편리한 공유 자전거 서비스로 많은 분들이 자전거를 이용하고 계시는데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자전거를 인도에서 타도 될까요?”에 대한 답변과 함께 관련 법령을 알아보도록 해요.

◆ 「도로교통법」 상 자전거는 차에 포함이 된다는 사실 알고 있었나요?
「도로교통법」 제2조제17호가목4)에 따라 자전거는 차에 포함되고 같은 법 제13조에 따라 자전거는 인도로 달릴 수 없습니다.

「도로교통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7. “차마”란 다음 각 목의 차와 우마를 말한다.
가. “차”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4) 자전거

제13조(차마의 통행) ①차마의 운전자는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에서는 차도로 통행하여야 한다. 다만, 도로 외의 곳으로 출입할 때에는 보도를 횡단하여 통행할 수 있다.

◆ 그렇다면 자전거 도로가 따로 있는 경우는 어떻게 하나요?
「도로교통법」 제13조의2제1항에 따라 자전거 도로가 있으면 차도가 아닌 자전거 도로로 통행하여야 합니다.

「도로교통법」
제13조의2(자전거 등의 통행방법의 특례) ①자전거 등의 운전자는 자전거 도로(제15조제1항에 따라 자전거만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전용 차로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따로 있는 곳에서는 그 자전거 도로로 통행하여야 한다. ②자전거 등의 운전자는 자전거 도로가 설치되지 아니한 곳에서는 도로 우측 가장자리에 붙어서 통행하여야 한다.

◆ 하지만! 보도를 통행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 어린이, 노인,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신체장애인이 자전거를 운전하는 경우
- 안전표지로 자전거 등의 통행이 허용된 경우
- 도로의 파손, 도로공사나 그 밖의 장애 등으로 도로를 통행할 수 없는 경우

「도로교통법」
제13조의2(자전거 등의 통행방법의 특례) ④자전거 등의 운전자는 제1항 및 제13조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보도를 통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전거 등의 운전자는 보도 중앙으로부터 차도 쪽 또는 안전표지로 지정된 곳으로 서행하여야 하며,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될 때에는 일시정지하여야 한다.
1. 어린이, 노인,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신체장애인이 자전거를 운전하는 경우. 다만,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의2에 따른 전기자전거의 원동기를 끄지 아니하고 운전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2. 도로의 파손, 도로공사나 그 밖의 장애 등으로 도로를 통행할 수 없는 경우

안전 규정도 확인하고 환경과 건강을 위한 즐거운 자전거 라이프, 새령이와 함께해요!
이 외에 다른 ‘법 관련 정보’는 법제처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해보세요!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