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우리가 만든 과학 탑재체, 한-미 협력으로 달 표면 탐사한다!

2023.09.0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쇄 목록

우리가 만든 과학 탑재체, 한-미 협력으로 달 표면 탐사한다!

  •  하단내용 참조
  •  하단내용 참조
  •  하단내용 참조
  •  하단내용 참조
  •  하단내용 참조

과기정통부는 美 아르테미스 약정 서명 후 추진해온 첫 번째 협력 프로젝트인, 美 인튜이티브 머신즈社의 무인 달착륙선(’24년 발사 계획) Nova-C에 탑재할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 탑재체의 개발을 완료하여 미국으로 이송을 시작하였습니다.

* 한국천문연구원이 美 NASA의 CLPS(민간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 계획에 참여해 개발한 탑재체
천문연은 착륙선에 탑재할 과학 탑재체 중 4종을 개발해 달 탐사 과학 임무 공동 수행
- 달 표면 우주환경 모니터, 달 표면 자기장 측정기, 달 표토 3차원 영상카메라, 달 표면 우주방사선 측정기

달 표면에서는 우주인의 건강이나 우주선의 전자부 기능 등에 영향을 미치는 고에너지 입자가 검출되기 때문에 Nova-C는 달 앞면 저위도 ‘라이너 감마*’ 지역에 착륙해 LUSEM을 통한 우주환경 관측을 포함해 표면 지형 관측, 국소 자기장 측정, 협력적 자율분산주행 로버군 전개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 Reiner Gamma
달의 앞면 적도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무늬로 인해 굴곡이 있는 것처럼 보이나 평평한 평면지대임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 」은 50킬로전자볼트 이상의 고에너지 입자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입니다.

센서부와 전장부, 두 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장비 ‘센서부’는 고에너지 입자를 관측하고 ‘전장부’는 센서부를 제어하고 신호를 처리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 천문연 주관으로 경희대 우주과학과 선종호 교수 연구팀과 개발, 국내업체 쎄트렉아이 제작

LUSEM은 미국 인튜이티브 머신즈社(텍사스주 휴스턴 위치)로 이송된 후 ’24년 초까지 한국천문연구원이 NASA 주관 하에 LUSEM을 Nova-C에 장착하며, ’24년 말 SpaceX社의 Falcon-9를 통해 발사할 목표로 착륙선과의 인터페이스 시험 및 기능시험 등의 발사 준비 작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자세히 보기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