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환경부 “석면 슬레이트 처리 사업은 지자체 자율로 추진”

2024.06.26 환경부
인쇄 목록

환경부는 “석면 슬레이트 처리 사업은 석면안전관리법 및 관련 규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직접 또는 위탁 추진하고 있다”면서 “내일신문의 보도내용은 사실관계와 다르거나,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라고 밝혔습니다.

6월 25일 내일신문 <‘이권카르텔’ 민간위탁, 세금 낭비 초래>에 대한 환경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①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집행해도 될 ‘주택 슬레이트 처리 지원 사업’을 민간에 위탁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러 부정과 비리 문제들이 불거져 나오고 있음

② 환경부를 정점으로 지자체, 민간위탁업체, 1순위낙찰자, 하도급업체 및 환경공단 퇴직자로 이권을 나눠 갖는 짬짜미 구조로 이권 카르텔을 구성 

③ 환경부가 특별법을 제쳐 두고 업무지침으로 슬레이트 처리지원사업을 민간에 위탁

④ 환경부가 슬레이트 1㎡ 처리단가를 3만원 내외로 정함 

⑤ 민간위탁자는 업무(슬레이트처리 철거계획 수립, 보조금 집행, 사업의 관리 감독업무 등 수행)를 위반해도 업무지침을 적용받아 처벌 규정이 없음

[환경부 설명]

① 슬레이트 사업은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지자체에서 직접 수행하거나 필요한 경우 지자체에서 결정하여 전문기관에 위탁하고 있음

② 환경부는 이권과 전혀 관계가 없음

- 지자체·민간위탁업체·낙찰자 등이 나눠 갖는 짬짜미 구조라는 내용도 일방적인 주장임

③ 환경부는 <석면안전관리법> 시행령 제37조 및 법령에 따른 업무지침으로 세부사업 추진방식을 규정하였음

- 2016년까지는 지자체에서 직접 수행하거나, 한국환경공단 등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고,

- 2017년 이후에는 보다 많은 전문기관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자체가 위탁할 수 있는 기관을 지방공사·공단, 주무관청의 허가 등을 받아 설립된 법인 등으로 개정(한국환경공단 명시 삭제)

④ 환경부는 공사단가를 정하고 있지 않고, 지자체에서 입찰을 통해 공사단가를 결정함

- 환경부는 지자체에서 공사비 과다청구로 인한 국고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지자체의 공사단가 책정시, 공사업체간 가격, 전년도 또는 타지역 공사단가 등 비교하여 최적단가가 적용되도록 하고 있음

⑤ 민간위탁자도 관련 법령들을 준수해야 하며, 위반 시 처분을 받음

- 지자체에서 선정한 위탁사업자도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석면안전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폐기물관리법 등 관련 법령들을 준수해야 하며, 법령을 위반하거나 사무를 부당하게 처리하는 경우 규정에 따라 관련 처분을 받게 됨

문의 : 환경부 환경보건국 환경피해구제과(044-201-6817)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