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농식품부 “원유 소비상황 감안해 원유가격 인상 최소화”

2024.06.03 농림축산식품부
인쇄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원유 소비상황을 감안하여 원유가격 인상을 최소화하겠다”면서 “생산자, 유업체 협력을 통해 원유 기본가격 인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중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5월 31일 머니투데이 <우윳값, 올해도 인상 불가피 음용유 구매 처음으로 ‘축소’>에 대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우윳값, 올해도 인상이 불가피하여 최대 26원 인상할 수도 있고, 원유 구매 물량 감소와 우유가격 책정은 별개 문제

[농식품부 설명]

올해 원유가격 협상범위는 생산비 상승분(44원/ℓ)의 0~60%(0~26원/ℓ)인 것은 사실이나, 정부는 엄중한 물가 상황 등을 감안하여 생산자, 유업체 협력을 통해 원유 기본가격 인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중재할 계획입니다.

원유가격 조정 협상에는 다양한 변수가 영향을 미칩니다. 2023년 통계청 생산비 발표에 따르면 축산 품목 중 유일하게 젖소 농가의 수익성이 개선*된 반면, 유업체는 음용유 소비 감소**로 경영 부담이 가중된 상황이므로 올해 원유가격이 반드시 인상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젖소 마리당 소득(천원): (‘22) 2,801 → (‘23) 3,086

** 음용유 사용량(천톤): (’22) 1,725 → (‘23) 1,690  

또한, 원유 구매량 결정과 원유가격은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높은 음용유 물량과 가격, 상대적으로 낮은 가공유 물량과 가격에 따라 농가가 받는 대금과 유업체가 지급하는 원유대금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한편, 현재 음용유는 공급 과잉 상태로 내년부터 적용될 음용유 물량은 과잉량(91,122톤)의 10~30%(9,112~27,337톤) 범위내에서 협상을 통해 감축될 예정입니다.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관실 축산경영과(044-201-2340)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