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팀코리아 파이팅! 2024 파리올림픽 / 사실은 이렇습니다 팀코리아 파이팅! 2024 파리올림픽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여가부 “촘촘한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만들 것”

2023.10.30 여성가족부
인쇄 목록

여성가족부는 “효율적 예산 운영을 통해 보다 촘촘한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10월 30일 연합뉴스 등<여성폭력 피해자 예산 삭감 결정 당장 철회해야>에 대한 여성가족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10월 30일, 연합뉴스「여성폭력 피해자 예산 삭감 결정 당장 철회해야」등 일부 언론의 기사에서,

ㅇ 일부 여성·시민단체는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 예산이 142억 감축되었고, 성희롱·성폭력, 가정폭력을 비롯해 이주여성·북한이탈여성 폭력피해 예방을 위한 인식 개선과 홍보예산 등이 삭감되었으며, 피해자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예산 확보와 제도 정비가 중요하다고 주장함

[여가부 설명]

□ 여성가족부의 권익증진국 사업 예산은 올해 137,893백만원에서 2024년 정부안 기준 132,597백만원으로 142억이 아닌 53억이 감액되었습니다. 

ㅇ 이는 국가 부채 증가와 글로벌 복합위기 상황에서 건전 재정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 유사중복 사업 통폐합, 보조사업 운영 효율화에 따른 것으로,

ㅇ 해바라기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 5대 폭력 피해자 통합지원 사업 등을 확충하고, 스토킹 피해자 및 가정폭력 피해자(이주여성 포함) 동반아동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등 보다 촘촘한 피해 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예산은 확대하였습니다.

< 주요 증액 내역 >

•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1개소, 2억 원) 및 해바라기센터(1개소, 3.3억 원) 신규 설치 5.3억 원(신규)

• 5대 폭력 피해자 통합지원 2→5개소(6.5억원 /증 4.5억원)

• 스토킹 피해자를 위한 긴급주거지원(10→17개소), 안전장비 구축비 신규 지원 등 24억 원(증 10억 원)

• 가정폭력 피해자 자립지원을 위해 동반아동 자립지원금 신설 5억 원(신규)

• 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 영상증인신문 지원 확대 17.7억원(증 4.7억 원)

□ ‘통합상담소* 전환’과 관련해서는 최근 증가하는 스토킹 및 교제폭력 등 신종폭력 피해자에 대한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일부 가정폭력상담소를 통합상담소(25개소)로 전환하되, 부정수급, 실적저조 등의 사유가 발생한 일부상담소(5개소)에 대해서는 지원을 중단할 계획입니다.   

* 가정폭력방지법 제14조에 근거, 성폭력, 가정폭력, 스토킹 등 다양한 유형의 폭력에 대해 상담, 보호, 치료, 법률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  

※ 가정폭력 신고건수는 감소추세(’19년 24만 건 → ’22년 22.6만 건, 6% 감소)인 반면, 스토킹(’19년 5,468건 → ’22년 29,565건, 440% 증가), 교제폭력(’19년 9,823건 → ’22년 12,828건, 30% 증가)은 증가 추세

□ ‘디지털성범죄지역특화상담소 통합상담소 이관’은 매년 사업자를 선정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기존 통합상담소와 지자체 디지털 성범죄 피해지원기관 중심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운영 방식을 바꾸어 피해자에게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ㅇ 대부분 기간제로 고용되어 있는 특화상담소 종사자들이 정규직으로 고용 승계될 수 있도록 하여, 내년부터는 안정적인 근무 환경에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 기타 성폭력 피해자 치료회복프로그램은 부정수급 발생, 의료비는 불용액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어 일부 예산을 삭감하였고, 홍보 사업은 기 제작된 홍보콘텐츠를 활용하되 주요 계기 등과 연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정책 수요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 여성폭력 피해 지원 및 예방의 보다 효과적 추진을 위해 관계 부처 협의와 지자체 협조 및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사업운영을 효율화하고, 피해자 지원에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문의 :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 권익정책과(02-2100-6383), 권익지원과(02-2100-6396), 권익침해방지과(02-2100-6167), 권익보호과(02-2100-6422)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