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농촌경제연구원 양곡관리법 개정안 영향 분석은 객관적 수치에 근거

2023.04.12 농림축산식품부
인쇄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경제연구원의 양곡관리법 개정안 영향 분석은 객관적 수치에 근거한 것”이라면서 “분석에서 적용한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은 생산단수 증가 추세를 보수적으로 적용한 것이며, 과다 추산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4월 11일 뉴스1 <양곡관리법 거부권 행사 근거된 쌀 생산량 전망은 허위…28만톤 부풀려>, 매일일보 <김승남 의원 “농촌경제연구원 쌀 생산량 예측 시 밀·콩 자급 목표 반영 안 했다>에 대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1. 김 의원이 농촌경제연구원 “양곡관리법 개정안 효과 분석”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촌경제연구원은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이 2023년 533kg에서 2030년 553kg으로 급증할 것이라 전망했으나, 2010년 이후 평균단수는 512kg에 불과했다. 즉, 농촌경제연구원이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을 평년 단수보다 41kg이나 부풀린 것이다. 

2. “농촌경제연구원이 쌀 생산량을 예측할 때, 밀과 콩 자급률 목표에 따른 타작물 전환 면적 증가를 반영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2만 8,600ha만 반영했다”면서 “윤석열 정부의 밀·콩 자급률 목표 달성을 위해 타작물 재배를 적극 추진할 경우, 2030년 쌀 생산량은 농촌경제연구원 예측치보다 36만 톤이 감소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농식품부 설명]

1.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 추정과 관련하여

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양곡관리법 개정안 효과 분석”에서 적용한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10a 당 생산단수)은 생산단수 증가 추세를 보수적으로 적용한 것이며, 과다 추산하지 않았습니다. 
  
농경연이 분석한 쌀 생산량은 ’05년 이후 쌀 생산단수가 추세적으로 증가한 수준(연평균 0.5%)만을 적용한 최소한의 수치입니다. 최근 20년간 생산단수 변화를 살펴보면, ’03~’12년산의 평균단수는 489kg이고 직전 10개년(’13~’22년산)의 평균단수는 520kg으로 직전 10개년에 비해 6.3%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최근 추세를 적용하면 향후 10년간의 평균 단수는 550kg 이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농경연은 생산성 증가 추세를 이보다 보수적으로 적용하여 ’22~’30년산에 대한 평균 단수를 541kg으로 가정하여 분석하였습니다.

* 생산단수 평균: (’03∼‘12) 489kg/10a → (’13∼’22) 520 (6.3%↑) → (’23~’32p) 553

생산단수 현황.

또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시행되어 남는 쌀을 정부가 전량 강제적으로 수매하게 될 경우 농가는 벼 수량성을 늘리는 재배방식을 취할 가능성이 커서 수량성은 기존 추세보다 많아질 가능성이 높으나, 그 정도를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는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2. 벼 재배면적 추정과 관련하여

농경연은 경제학 모형 추정치인 2만 1천ha뿐만 아니라, 과거 타작물재배지원사업 시행(’18~’20) 당시 최대 실적치인 2만 9천ha 수준까지 전환되었을 때의 효과까지도 함께 검토하여 벼 재배면적을 추정하였습니다.

김승남 의원의 주장과는 달리, 남는 쌀 강제 매수법이 시행될 경우 쌀 생산을 유발하고 타작물 전환은 어렵게 하기 때문에 타작물재배지원 정책의 실효성은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18~’20년 한시적으로 시행되었던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 기간 중 3년간 사업에 참여하여 벼에서 타작물로 전환한 면적이 25천ha이고, 농지전용 23천ha와 농지은행의 타작물재배로 약 6천ha 등 총 54천ha가 벼 재배 감소요인이 있었으나, 실제로는 29천ha(’17: 755천ha → ’20: 726)만 줄어들어 약 25천ha는 벼로 회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타작물재배지원만 있던 경우에도 타작물로의 전환은 쉽지 않은 상황에서 남는 쌀 강제 매수법과 같이 쌀에 추가적인 지원이 더해진다면 타작물 전환 정책의 실효성은 더욱 낮아질 것입니다.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실 식량정책과(044-201-1815)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