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농식품부 “과일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계약재배 확대 등 노력”

2024.04.09 농림축산식품부
인쇄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과일 유통 효율화를 통한 가격 안정을 위해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와 계약재배 확대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4월 8일 국민일보 <‘금사과’ 이유 있었네…매점매석 ‘밭떼기 사업자’까지 가세>, 뉴스1 <사과는 왜 金이 됐나, 기이한 유통구조…중간 마진에서만 3배 뛰었다> 등에 대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① 품귀 현상이 빚어지는 일부 농산물에 대한 ‘밭떼기’ 관행이 심화하고 있고, 마트나 시장으로 흘러가는 물량이 줄고, 가격이 뛰면서 대다수 소비자는 피해를 본다. 

② 과일류의 도매가는 도매시장에서 경매로 결정되는데 특성상 물량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커지고, 소비자까지 전달되는데 5단계의 유통과정을 걸쳐야 해 중간 마진이 붙으면서 가격이 올라가는 구조

[농식품부 설명]

① 사과 등 과일류는 포전매매(밭떼기) 비율이 낮으며, 정부는 수급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계약재배 물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포전매매는 기후 등에 따라 생산 변동이 큰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유통방식의 하나이며, 보도에서 지적한 사과의 경우 다른 농산물에 비해 포전매매 비중이 평균 7%로 높지 않습니다. 포전매매 때문에 농산물 품귀현상이 일어난다는 지적은 지나친 해석으로 올해 유통물량 감소 발생 이유는 냉해, 병충해 등에 따른 생산 감소가 원인입니다.

정부는 주요 과일의 수급불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사과, 배 계약재배 물량을 ‘30년까지 30%로 확대하고, 농산물 온라인도매시장 거래 활성화를 통한 유통경로 1~2단계 단축 및 유통비용 10% 절감 등을 주요 내용으로 4월 2일 발표한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해 나갈 계획입니다.

② 농산물의 유통 효율화를 위해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 활성화와 함께 유통구조 개선 방안을 마련중입니다.

범부처 유통구조개선 협의체(TF)를 구성·운영하여 현재 농산물 유통구조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사항을 발굴하는 등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입니다.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 원예경영과(044-201-2260)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