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복지부 “정신건강 위험군, 정신과 전문의 대면진료로 진단”

2024.01.03 보건복지부
인쇄 목록

보건복지부는 “정신건강검진은 설문조사인 자기기입식 선별검사 후 위험군은 정신과 전문의 대면진료를 통해 진단한다”고 밝혔습니다.

1월 3일 한겨레 <청년 조현병·조울증, 스스로 진단하라고?>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국회 입법조사처 보고서를 인용, 정부가 내년부터 청년층(20∼34세) 정신건강검진에 우울증 외 조현병·조울증 등 선별검사에 포함하는 것은 

- 조현병은 스스로 해당 질환에 걸렸음을 인정하지 않거나 조울중은 본인 증상이 조울증임을 모르는 경우가 많아, 선별검사에 포함하는 것은 불필요한 위양성만 증가시켜 비용 대비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보도

[복지부 설명]

□ 정신과 증상의 자가진단은 자기기입식 검사로서 위험군 발굴을 위한 선별검사이며, 일정 수준 이상의 위험군은 정신과 전문의의 대면진료 및 병력 청취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게 됩니다.

○ 우울증 검사와 조현병·조울증 등 검사는 우울 및 정신증 증상에 대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위험군을 선별하여 정신과 진료를 통한 진단을 받기 위한 것입니다. 

□ 조현병·조울증 등 검진항목 도입에 대한 연구용역*이 진행 중에 있으며, 향후 검진항목에 대한 의과학적 근거수준 평가, 타당성 분석 등 통해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검진항목 도입할 계획입니다. 

*「조기정신증 검진 도입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문의 :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 정신건강관리과(044-202-3874)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