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 입법 졸속 추진?…사실 아니다”

2023.1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쇄 목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그동안 국회 안건조정위 논의 등 입법 절차를 성실히 추진해 왔다”면서 “우주항공청 입법을 졸속 추진했다거나, 자문단 회의 내용을 임의로 수정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습니다.

10월 23일 동아일보 <우주항공청 입법 졸속 추진…“연내 개청 밀어붙이다 더욱 지연”>에 대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과기정통부가 우주항공청 설립을 위한 연구용역의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법 제정안을 국회에 제출, 전문가 의견수렴 과정에서 왜곡·수정, 우주항공청 연내 개청을 위해 기본적인 절차를 무시했다고 보도

[과기정통부 설명]

① 정부는 국회 안건조정위 논의 등 그간의 입법 절차를 성실히 추진해 왔습니다.

○ 과기정통부는 관계부처 협의, 입법예고, 규제심사 등 기본절차를 준수함과 동시에, 총 10회 이상의 전문가 의견수렴, 총 100회 이상의 국회 대상 설명 등 의견 수렴을 성실하게 수행하였습니다.

○ 또한, 조속한 우주항공 전담기관의 설립을 요청하는 현장의견을 반영해 당초 계획을 앞당겨 4월에 법안을 국회에 제출하였으며, 국회 논의 과정에서도 쟁점 해소를 위해 대안을 제시하는 등 적극적으로 노력하였습니다.

○ 아울러, 기사에서 함께 언급한 “기본적인 절차를 무시”했다는 표현도 그간의 정부 입법 추진 과정을 살펴볼 때 전혀 사실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② 과기정통부는 전문가 의견수렴 과정 및 회의록 작성 과정에서 회의 내용을 임의로 수정하거나 왜곡한 사실이 전혀 없습니다. 

○ 과기정통부는 작년 12월부터 총 10회 이상의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접수된 다양한 수정 의견을 반영해 제정안을 마련했습니다.

○ 기사에서 언급한 회의록은 1~9차 간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자료로 전문가의 현장 발언 요지를 정리한 것입니다.

③ 연구용역은 법안 통과 후의 하위법령 마련까지 과업범위에 포함되어 있어 연구용역 종료 전에 법안을 제출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 연구용역의 과업범위로 시행령, 시행규칙 등 하위법령 마련을 포함하고 있고 법안의 국회 통과 이후에 하위법령을 마련하게 되므로 연구용역의 중간결과물을 활용해 법 제정안을 제출한 일정은 당연히 타당합니다.

○ 또한, 연구용역을 시작한 ’22년 11월경 이미 과기정통부 차원의 검토초안이 준비되어 있었으며 연구용역을 통해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한 것으로 무리한 일정 단축은 없었습니다.

문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044-202-4682)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