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기재부 “제조업 취업자수, 코로나 이전 19년 대비 높은 수준”

2023.10.23 기획재정부
인쇄 목록

기획재정부는 “제조업 취업자수는 코로나 이전 19년 대비 높은 수준이며, 40대 고용률도 지속 증가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10월 22일 연합뉴스 <3분기 제조업 취업자 5만 8천명↓…팬데믹 이후 가장 많이 줄었다>, 뉴시스 <직장 없는 40대, 우울증 적신호…노동 허리층이 무너진다>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입장입니다

0

[기사 내용]

① 연합뉴스

ㅇ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년 4분기 10만7천명 줄어든 뒤로 감소폭이 가장 컸다.

② 뉴시스

ㅇ 40대 취업자는 5만8000명이나 줄었고, 2022년 6월 이후 15개월 연속 40대 취업자가 감소한 것이다.

[기재부 입장]

1. 3분기 제조업 취업자수 관련

□ ‘23년 3분기 제조업 취업자수 감소 △5.8만명은 ‘22년 3분기 21.4만명의 높은 취업자수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22년 연간 13.5만명) 영향이 큽니다.

* 22년 3분기 21.4만명 증가는 10차 표준산업분류 개편(’13년) 이후 분기 기준 최고 증가폭

ㅇ 제조업 취업자수의 경우 ‘23.3분기 446.6만명으로 오히려 코로나 직전인 ’19년 3분기 440.3만명 대비 높은 수준입니다.

* 제조업 취업자수(3분기 기준, 만명): (‘13)426.8 (’14)447.0 (‘15)463.2 (16)454.0 (’17)457.0 (‘18)447.9 (‘19)440.3 (’20)434.6 (’21)431.0 (’22)452.5 (‘23)446.6 

ㅇ 제조업 중에서도 양질의 일자리인 자동차 및 의료용물질(바이오, 제약 등) 부문 등은 취업자수 증가세가 지속중이며, 최근 수출 회복 흐름 등은 향후 제조업 고용 흐름에 긍정적 요인입니다.

* 수출 증감률(전년비, %): (’22.9)2.3 ... (‘23.5)△15.4 (6)△5.9 (7)△16.2 (8)△8.3 (9)△4.4

2. 40대 고용상황 관련

□ 인구요인이 반영된 40대 고용률의 경우 ’21년 4월부터 지속 증가중이며, ‘23년 9월 40대 고용률은 코로나 이전인 ‘19년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입니다.

* 40대 고용률 증감(%p): (‘21.4)0.6 ... (’23.1)0.2 (2)0.0 (3)0.3 (4)0.8 (5)0.5 (6)0.8 (7)0.5 (8)0.4 (9)0.6

* 40대 고용률(9월 기준, %): (‘18)79.2 (‘19)78.3 (‘20)76.8 (‘21)77.6 (‘22)78.2 (‘23)78.8

□ 아울러, 40대 취업자수 감소는 인구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므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ㅇ KDI에 따르면 1~8월 40대 취업자수 감소분(△5.5만명) 중 인구요인 기여도는 △8.7만명으로 이를 제외하면 오히려 +3.2만명 증가했습니다.

* 40대 인구 증감(만명): (’23.1)△10.0 (2)△10.4 (3)△10.7 (4)△11.2 (5)△11.6 (6)△11.9 (7)△12.3 (8)△12.8 

* 40대 취업자수 증감(만명): (’23.1)△6.3 (2)△7.7 (3)△6.3 (4)△2.2 (5)△4.8 (6)△3.4 (7)△6.1 (8)△6.9 

문의 : 기획재정부 경제구조개혁국 인력정책과(044-215-8530)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