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모바일 신분증 활성화 위해 입법부·사법부 등과 협의 중

2023.07.24 행정안전부
인쇄 목록

행정안전부는 “현재 정부청사의 경우 모바일 신분증을 제시할 경우 출입할 수 있고, 입법부와 사법부 등의 청사도 이용될 수 있도록 협의 중”이라면서 “홍보·안내 등을 통해 모바일 신분증 이용에 불편없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7월 24일 한겨레 <‘모바일 면허증’ 도입 1년, 신분증 역할은 아직…>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입장입니다

[기사 내용]

- 오는 28일이면 정부가 모바일 운전면허증 도입한지 1년을 맞지만  여전히 실물 신분증을 완전히 대체하기엔 역부족

- 행정기관을 제외한 입법부와 사법부는 여전히 실물 신분증만을 요구, 식당이나 편의점 등 일상공간에선 점원이 모바일면허증을 알고 있는지에 따라 효력이 갈림

[행안부 입장]

○ 현재 정부청사의 경우 출입관련 규정 개정 및 출입구조 변경을 통해 모바일 신분증을 제시할 경우 1회용 출입증을 교부 또는 연락처를 기재하는 등의 방법으로 출입할 수 있습니다.

○ 행정부 외의 입법부, 사법부 등의 청사도 모바일 신분증이 이용될 수 있도록 협의 중입니다.(7. 21. 협조공문 시행)

- 다만, 국회, 대법원 등 입법부와 사법부의 경우에는 현재 신분증을 담보로 출입증을 교부하는 구조로 모바일 신분증이 담긴 스마트폰을 맡기기 어려움에 따라 이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 한편 신분증으로 신원확인하는 업무 등을 수행하는 주점, 편의점 관련 협회 및 기업 등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설명회, 협조요청 등을 실시하여 실물 신분증과 같이 모바일 신분증이 이용될 수 있도록 계도 중이며,   

- 이벤트 등 다양한 홍보활동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노력 중입니다.

문의 :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국 디지털안전정책과(044-205-2748)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