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우리나라 식품 방사능 기준, 국제 규격보다 10배 엄격해”

식약처 식품기준기획관, ‘식품 중 방사능 기준’ 설정 근거 설명

2023.06.26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쇄 목록

강윤숙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기준기획관은 26일 “우리나라의 식품 kg 당 100 Bq 이하의 (식품 중 방사능) 기준은 세계 어느 나라 보다 엄격한 기준”이라고 밝혔다. 

이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에 배석한 강 기획관은 식품 중 방사능 기준 설정 근거에 대해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식품 kg 당 100 Bq 이하의 기준은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의 1000Bq/kg보다 10배 엄격한 수준”이라면서 “영유아가 주로 섭취하는 식품에는 더욱 엄격한 기준인 50Bq/kg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윤숙 식약처 식품기준기획관(왼쪽 첫번째)이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에서 식품 중 방사능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강윤숙 식약처 식품기준기획관(왼쪽 첫번째)이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에서 식품 중 방사능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강 기획관은 “식품 중 방사능 기준은 우리 국민의 식품섭취량과 섭취식품 중 방사능 오염률, 방사성 물질이 오염된 식품 섭취로 인해 인체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을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식품을 통한 방사선 노출량이 최대 안전기준(1mSv/년)을 넘지 않도록 계산해 설정한다”고 말했다. 여기서 ‘밀리시버트(mSv)’는 사람이 방사선을 쬐었을 때의 영향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다. 

한편 방사선 노출에 대한 최대 안전기준은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가 일본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생존자가 단기간(1~2주)에 방사선을 100mSv 이상 받으면 암과 같은 질병 발병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했다. 

이에 사람이 평생 노출되어도 암 발생과 같은 영향을 주지 않는 방사선의 양을 보수적으로 100mSv로 설정한 후 연간 안전기준을 1mSv로 정했다. 

우리나라 또한 방사능 최대 안전기준으로 1mSv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최대 안전기준을 고려해 식품 중 방사능 기준을 설정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강 기획관은 “국내 기준은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방사성 물질에 의한 국민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1989년에 처음으로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국민이 섭취하는 식품의 10%가 방사성 세슘 370Bq/kg에 오염되었다고 가정한다면 연간 방사선 노출량은 0.325mSv로, 방금 언급한 최대 안전기준 1mSv의 약 1/3 수준”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부는 이 정도가 식품으로부터의 방사능 노출 관리가 충분한 수준으로 보고, 당시에 모든 식품을 대상으로 요오드 300Bq/kg, 세슘 370Bq/kg 이하로 기준을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정부는 2011년 일본 원전 사고를 계기로 방사능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요오드와 세슘 기준을 식품 kg 당 100Bq 이하로 개정했다. 

이때는 1989년 기준 설정 때와는 달리, 원전 사고의 특수성을 고려해 우리 국민이 섭취하는 식품의 절반인 50%가 방사능에 오염되었다고 가정해 매우 보수적으로 기준을 강화했다. 

이에 강 기획관은 “강화된 기준을 적용하면 세슘의 연간 방사선 노출량은 0.44 mSv로서 이는 최대 안전기준의 약 1/2 수준”이라면서 “이 기준은 세계 어느 나라 보다 엄격하다”고 덧붙였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
후쿠시마 오염수 대응 정책정보 모아보기 국민의 건강과 안전, 반드시 지키겠습니다 정책포커스 바로가기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