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스마트공장 현장문제 해결, 전문가 파견·인력 양성

최종수정일 :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이 자료는 2018년 12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운영한 백과사전형 정책 설명 콘텐츠입니다.
최종수정일 이후 변경된 내용은 관련기관이나 최신 정책뉴스를 통해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사 내용]

ㅇ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은 전문인력이 부족하여 사후관리에 불만

- 부족한 전문인력을 대신해 소규모 업체들을 돕고 있는 정부 파견 코디네이터도 제 역할을 못하고 있고

- 지난해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중소기업 중 추진단 코디네이터의 조언에 만족하는 경우는 절반인 50%에 불과하다고 언급

ㅇ 아울러, 업계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추진단 코디네이터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에서 일한 전문가라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의 공장 현실을 전혀 모르고 있다”고 보도

[중기부 설명]

□ 추진단 전문위원은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에 대한 현장점검(3회)을 주로 수행하는 인력으로 사후관리 등은 지원하지 못한 실정

□ 중기부는 스마트공장 전문인력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년 11월부터 ‘스마트 마이스터’ 파견 사업을 진행 중 

ㅇ ‘스마트 마이스터’는 스마트공장 운영 경험이 많은 대기업 퇴직 전문 인력으로 중소기업에 3개월 간 파견하여 현장애로를 즉석 해결 중에 있음

- 중기부는 지난 2월부터 전문가를 모집하여 340명의 지원자 중 중소기업 현실을 잘 아는 100명의 경력자를 선발하였고, 

- 이들이 자부심과 사명감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도록 ‘스마트 마이스터 발대식’ 개최 (대한상공회의소, 4.11)

ㅇ 아울러, 이들은 지역별 제조혁신센터(19개 TP)에 근무하며 지역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사후관리 애로기업은 상담신청을 할 수 있음

ㅇ 참고로 ‘스마트 마이스터’를 지원받은 중소기업의 만족도는 87.9점 수준(대한상의, ‘19.3)

□ 중기부는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의 사후관리 애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스마트 마이스터’ 파견 인력을 늘리고, 

ㅇ 중소기업 전문인력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2년까지 스마트공장 전문인력 10만명을 양성*할 예정

*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전략(관계부처 합동, ’18.12.13)

문의 : 중소벤처기업부 기술혁신정책과(042-481-3996)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