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캠핑 가고 싶을 땐 ‘고캠핑’

[휴가철 특집] 캠핑과 관련된 모든 것 ‘고캠핑’서 확인

2016.07.12 정책기자 김규영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최근 캠핑이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여가활동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 캠핑인구가 300만 명에 육박하고 직장인들이 휴가기간 동안 캠핑을 즐기는 비율도 27.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캠핑 관련 시장규모는 여가 산업의 전반적인 침체에도 불구하고 최근 6년 동안 30배 정도 성장하여 약 60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캠핑 열풍에 힘입어 캠핑장 수도 증가하여 현재 등록된 캠핑장은 전국에 1279개에 이른다.

요즘 캠핑이 여행문화의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요즘 캠핑이 여행문화의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캠핑 트렌드는 급부상하고 있는 데 반해 전국 캠핑장에 대해 믿을만 한 정보를 얻기는 하늘의 별 따기다. 캠핑장에 대한 정보가 산재해 있어 자신이 원하는 테마의 캠핑장을 찾아 비교하기 어렵고 화재·침수 사고 등 안전 문제도 부각되면서신뢰할 수 있는 캠핑장을 찾는 것이 캠핑족의 새로운 고민거리가 됐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캠핑 관련 정보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한국관광공사에서는 ‘고캠핑(Gocamping)’(http://www.gocamping.or.kr/)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캠핑 홈페이지는 2014년 6월 첫 서비스를 시작해 올해로 딱 2년 된 캠핑정보 제공 홈페이지다. 하루 평균 1100명에서 많게는 2000명 정도가 이 홈페이지를 이용해 캠핑장 정보를 얻고 있지만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서비스는 아니다.

고캠핑 홈페이지 PC 화면
고캠핑 홈페이지화면.


자칭 캠핑의 달인이라고 부르는 대학생 김 모 씨도 “지난 방학 때캠핑을 가려고여러 블로그를많이참조했는데, 진작 이런서비스가 있다는 걸 알았다면 캠핑장 찾는 시간이 절반 이상으로줄었을 것”이라고 말했다.또 “블로그만으로는캠핑장의 시설이나 준비를 어느 정도 해야하는지 감이 잘 안잡히는 경우가 많은데, 고캠핑에는 한 눈에 쉽게 시설과 주차장 유무 등에 대한 정보를알 수 있어 준비하기 수월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고캠핑 홈페이지는 전문적인 캠핑족 뿐 아니라 처음 캠핑을 시도하려는 사람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위화면에서 볼 수 있듯캠핑에관한 전반적인 정보를 직관적으로 찾을 수 있게 돼있다.

고캠핑 홈페이지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의 산재해 있던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고 소비자의 기호를 고려해 캠핑장을 다양한 항목으로 분류하고 있다는 점이다. 관광사업자로 등록된 약 1280개의 캠핑장을 지역별로 분류하고 각 캠핑장의 특징과 편의 시설 유무에 따라 ◆자연휴양림 캠핑장 ◆국립공원 캠핑장 ◆장비대여 캠핑장 ◆해변·강변캠핑장 등의 항목으로 세분화해정보를 제공한다.

캠핑장마다 위치는 물론 캠핑장이 보유한 각종 시설 및 주변 관광지, 음식점 등을제공하고 있어 여행 계획을 짜기에도 최적화돼있다. 또 캠핑 장비, 안전하게 캠핑을 즐기는 방법 등 캠핑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처음 캠핑을 계획하는 사람도 고캠핑 홈페이지를 통해 쉽게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캠핑장 시설을 한 눈에 볼 수 있다.(고캠핑 모바일 화면)
캠핑장 시설을 한 눈에 볼 수 있다.(고캠핑 모바일 화면)
 
고캠핑은 캠핑장에 대한 정보 제공 창구로써의 역할 외에도 캠핑장의 안전에 대해서 신뢰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바로 ‘관광사업자 등록’ 제도다.홍수나 침수 피해, 긴급 상황 발생 시 대피할 수 있는 시설이나 장비 등 안전에 대한 세부 기준은 물론 캠핑장의 규모 및 위생 시설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기준을 충족한 사업자만 관광사업자 등록을 허가하고 있어 안전 사각 지대에 놓여 있는 캠핑장을 걸러내고 안전한 캠핑을 유도하고 있다. 특히 이 제도에 대해 한국관광공사의 한 관계자는 “관광사업자 등록 캠핑장은 일정한 시설 기준과 안전 기준을 통과한 캠핑장이다.

따라서 자신이 가고 싶은 캠핑장을 고캠핑 홈페이지에서 검색하면 이 캠핑장이 과연 법적 기준을 통과한 캠핑장인지 알 수 있다.”면서 안전한 캠핑을 위해서는 고캠핑 바깥에서 얻은 정보라도 고캠핑 홈페이지 내에 해당 캠핑장이 있는지 확인해 볼 것을 당부했다.

관광사업자 등록기준 (제공: 고캠핑 홈페이지)
관광사업자 등록기준(출처=고캠핑 홈페이지)


이제 코앞으로 다가온 여름 휴가철. 가족, 친구들과 색다른 추억을만들고 싶다면 고캠핑을 통해서 안전하고 풍성한 캠핑을 계획해본다면 어떨까?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김규영qksvh0235@naver.com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