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수출 중소기업 통상리스크 긴급자금 투입…중기부, 추경 5조원 편성

[2025 추경] 통상리스크 대응 1000억 원 신설·긴급 유동성 자금 5000억 원 추가 공급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위기 극복을 위해 올해 추경예산안 5조 112억 원을 편성했다고 18일 밝혔다. 

중기부는 이번 추경으로 통상리스크 대응 지원, 민생회복지원, AI 등 신기술 대응 지원 등 3대 분야를 중점으로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에 집중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먼저, 미 상호관세 조치 등 대외 불확실성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 중소기업의 통상리스크 대응을 중점 지원한다.

미국 관세 품목 업종을 영위하거나 대미 수출을 하는 중소기업들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 1000억 원을 올해 한시적으로 신설하고, 금리우대, 거치기간 및 만기 연장 등을 지원한다. 

여기에 수출국 다변화와 신시장 진출 등을 위한 자금 1000억 원과 일시적 자금난을 겪는 중소기업의 긴급 유동성 공급을 위한 자금 5000억 원을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올해 추경예산안 5조 112억 원을 편성,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중기부는 올해 추경예산안 5조 112억 원을 편성,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또한, 신속한 유동성 공급을 위해서 신용보증기금 3조 3000억 원과 기술보증기금 1조 2000억 원 등 모두 4조 5000억 원 규모의 '위기기업특례보증'을 신설할 예정이다.

수출바우처 사업에도 898억 원을 추가 투입, 수출 중기의 글로벌 대응 역량을 높이고 해외규격인증 획득 등을 위해 100억 원을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의 민생회복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도 신설 지원한다.

영세 소상공인의 고정비용(공과금, 보험료) 부담 완화 및 유동성 제공을 위해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에게 크레딧(50만 원)을 지원하는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 신규사업을 1조 5700억 원 규모로 신규 편성했다.

또한, 민생경제 핵심인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출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카드소비자의 전년 대비 증가한 카드소비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상생페이백' 사업예산을 1조 3700억 원 편성했다.

단기 운영자금 마련이 원활하지 않았던 중·저신용 소상공인의 경영애로 해소를 위해 1000만 원 한도의 구매 전용 신용카드를 발급해 사용할 수 있도록 '소상공인 비즈플러스카드'도 신설한다.

해당 카드는 무이자 6개월 할부 혜택을 제공해 금융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고 단기 운영자금 확보가 어려웠던 중·저신용자에 대한 정책 공백도 해소한다.

이 밖에, 소상공인의 안정적인 사업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소상공인 정책자금을 5000억 원 규모로 추가 확대하고,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해 2조 원 규모의 신규 보증공급을 확대한다.

소상공인의 신속한 재기를 위해서는 점포철거비 지원 및 재기사업화를 위해 희망리턴패키지 사업에 494억 원을 추가 투입하고, 경기악화 및 매출감소 등으로 위축된 전통시장 및 상점가를 대상으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 환급행사를 5개월 동안 추진해 소비활성화 분위기를 조성한다.

중기부는 이와 함께, AI 등 신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AI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스케일업 지원 및 스마트공장의 AI기술 도입·활용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고도의 기술력을 가진 AI 분야 유망 기술기업이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본격적으로 스케일업할 수 있게 지원하기 위해 민간투자와 연계한 R&D 프로그램인 스케일업 팁스를 확대한다.

또한, AI 기술이 중소 제조현장에 적용·확산될 수 있도록 제조로봇, 공정자동화 구축 및 클라우드 솔루션 개발을 지원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이번 추경 예산안을 통해 미 관세 조치, 산불피해, 침체된 내수경기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영난 해소와 활력 회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기획조정실 기획재정담당관(044-204-732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