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10명 중 7명, 한국 콘텐츠 추천!

2025 해외 한류 실태조사 결과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10명 중 7명, 한국 콘텐츠 추천!

  • 전세계 10명 중 7명, 한국 콘텐츠를 추천하다 하단내용 참조
  • 전세계 10명 중 7명, 한국 콘텐츠를 추천하다 하단내용 참조
  • 전세계 10명 중 7명, 한국 콘텐츠를 추천하다 하단내용 참조
  • 전세계 10명 중 7명, 한국 콘텐츠를 추천하다 하단내용 참조
  • 전세계 10명 중 7명, 한국 콘텐츠를 추천하다 하단내용 참조
  • 전세계 10명 중 7명, 한국 콘텐츠를 추천하다 하단내용 참조
  • 전세계 10명 중 7명, 한국 콘텐츠를 추천하다 하단내용 참조
  • 전세계 10명 중 7명, 한국 콘텐츠를 추천하다 하단내용 참조

■ 지금, 세계는 한국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문화체육관광부는 2012년부터 매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를 통해 그 흐름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28개 지역, 26,400명이 답했는데요.
* 조사 기간 '24년 11월 29일~12월 27일

세계가 경험한 한국 문화는 어떤 모습일까요?

■ 한국 하면 떠오르는 건 8년 연속 K-POP
한국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단연 K-POP이 17.8%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한식, 드라마, 뷰티, 영화가 꼽혔죠.

* 케이팝(17.8%), 한식(11.8%), 드라마(8.7%), 뷰티(6.4%), 영화(5.6%)

■ 가장 즐겨본 드라마와 영화는 <오징어게임> <기생충>
'오징어게임'은 2024년에도 가장 선호하는 한국 드라마로 꼽혔어요.

* 오징어게임(9.7%), 눈물의 여왕(6.5%), 사랑의 불시착(2.2%)

영화에는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무려 5년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작년 우리를 떨게 했던 '파묘'도 새롭게 순위권에 올랐습니다.

* 기생충(8.3%), 부산행(6.5%), 파묘(4.1%)

■ 한국 콘텐츠 평균 소비 시간은 한 달에 14시간
응답자 한 명당 한 달 평균, 14시간을 시청했다고 응답했어요.
이는 전년 대비해 2.3시간 상승한 수치이며 드라마와 예능은 그중에서도 사용 시간이 가장 길었어요.

* 드라마 17.5시간, 예능 17시간

■ 한국 콘텐츠! 추천할래요. 68.2%
응답자 10명 중 7명은 한국 콘텐츠를 주변에 추천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어요.

분야별로는 한국어, 예능, 게임, 드라마, 뷰티 순으로 나타나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 게임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을 확인했어요.

* 한국어(78.5%), 예능(75.9%), 게임(75.9%), 드라마(75.4%), 뷰티(75.4%)

■ 한국 제품과 서비스 구매할 의향 있어요. 58.9%
제품 구매 분야에선 식품, 화장품, 가전제품이 특히 많은 관심을 받았고 구매 이유는 품질이 가장 높았습니다.

구매 이유 중 '영화·방송에 등장'은 22.1%로 전년대비 5%가 증가하였는데요.

K-콘텐츠는 이제 소비 행동까지 움직이는 매력 포인트가 되고 있습니다.

■ 한류는 더 넓게, 더 깊게 퍼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한류산업진흥 기본법'도 시행되며 K-컬처 확산을 위한 정책들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흐름이 더 단단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