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소방청, 화재 원격 진압 '무인파괴방수차' 6대 추가 배치

화재현장 소방관 진입 않고도 불 진압 가능…전기차 화재 등 대응 기대

2025.02.03 소방청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소방청은 대구, 광주, 강원, 충북, 충남, 전북 등 6개 시도에 무인파괴방수차 6대를 연말까지 추가 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배치를 마무리하면 전국의 모든 시도에 배치한 무인파괴방수차는 모두 32대가 된다.

전북자치도 전주시 전주팔복LH아파트 및 더메이호텔에서 열린 레디코리아(READY Korea) 4차 훈련에서 소방관들이 무인파괴방수차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진압 훈련을 하고 있다. 2024.11.20(ⓒ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전북자치도 전주시 전주팔복LH아파트 및 더메이호텔에서 열린 레디코리아(READY Korea) 4차 훈련에서 소방관들이 무인파괴방수차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진압 훈련을 하고 있다. 2024.11.20(ⓒ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무인파괴방수차는 '소방장비관리법'이 정하는 소방자동차 중 하나로 원격 조종이 가능한 첨단 소방장비다. 최대 20m 높이와 반경 10m 범위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4mm 두께의 철판과 160mm 두께의 콘크리트 블록을 파괴할 수 있는 강력한 성능을 갖추고 있다.

무인파괴방수차는 원격 조정이 가능해 소방관이 직접 화재 현장에 진입하지 않더라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대형 물류센터, 샌드위치 패널 등 건축물 규모가 크고 구조가 복잡한 대상물 화재 때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압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특히 원거리 주수와 차량 내부 주수를 통해 고온, 유독가스, 폭발 위험이 있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번 추가 배치의 배경 중 하나는 최근 5년 동안 샌드위치 패널 건축물 화재 발생 빈도와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점이다.

샌드위치 패널 구조 건축물의 특성상 화재 시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 소방관 진입이 쉽지 않아 화재 진압에 큰 어려움이 있어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이번 무인파괴방수차 배치를 통해 소방청은 화재 진압 속도 향상, 소방관의 안전 확보, 다양한 유형의 화재에 대한 효율적 대응 등 여러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윤상기 소방청 장비기술국장은 "무인파괴방수차 추가 배치를 통해 지역 간 소방력 격차를 해소하고 국민의 안전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첨단 장비 도입과 실질적 대책 마련을 통해 현장대응력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소방청 장비총괄과(044-205-768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