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다목적댐 저수량 예년 대비 127%…"용수 공급 문제 없어"

6월 20일 홍수기 전까지 생활·공업용수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

2025.01.14 환경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전국 20개 다목적댐의 저수량이 예년 대비 127% 수준에 이르러 홍수기인 전인 6월 20일까지 생활·공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부는 최근(1월 13일 기준) 부처 소관 전국 20개 다목적댐 저수량을 조사한 결과, 예년 대비 127% 수준인 83억 6000만 톤에 이른다고 밝혔다.

서해엽 환경부 수자원개발과장이 14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20개 다목적댐 저수량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해엽 환경부 수자원개발과장이 14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20개 다목적댐 저수량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지난해 한 해 동안 내린 강우량은 1342㎜로 예년과 비슷(예년의 106%)했으나,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가 종료된 10월과 11월에 내린 비가 예년을 크게 웃돌면서 충분한 댐 저수량을 확보할 수 있었다.

시기별로 보면, 지난해 1분기(1~3월)에는 예년의 176% 수준의 많은 비(182㎜)가 내려 3월 말에 역대 최대 저수량(98억 9000만 톤)을 기록한 반면, 8월 강우량(78㎜)이 예년(277㎜)의 28% 수준에 그쳐 9월에는 다목적댐 저수량이 예년 수준 이하로 감소했다.

홍수기 종료(9월 20일) 뒤 10월과 11월에는 예년의 161% 수준의 많은 비(155mm)가 내렸고, 안정적 용수공급을 위해 이를 댐 내 최대한 저류해 10월 이후 현재까지 예년보다 많은 저수량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20개 다목적댐의 총저수량인 83억 6000만 톤은 지난해 1월(95억 7000만 톤)보다는 적지만, 예년보다 양호한 수준(예년의 127%)으로, 올해 홍수기 전까지 전국 대부분의 지역의 용수공급에는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권역별 주요 댐의 저수 현황을 살펴보면, 한강 권역의 경우 수도권 용수공급을 담당하는 소양강댐(예년의 139%)과 충주댐(예년의 126%)을 비롯해 낙동강 권역의 주요 용수 공급원인 안동댐(예년의 134%)과 합천댐(예년의 125%)도 충분한 저수량을 확보 중이다.

이에 따라 이들 다목적댐 유역 대부분에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22~2023년 극심한 가뭄이 발생했던 섬진강 권역의 주암댐(예년의 148%)과 섬진강댐(예년의 112%)도 예년보다 많은 저수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금강 권역의 주요 댐인 대청댐(예년의 113%)과 용담댐(예년의 111%)도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한 저수량을 확보 중이다.

수문 개방한 충주댐 전경. 2023.7.13.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수문 개방한 충주댐 전경. 2023.7.13.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다만, 충남 서부지역의 용수공급을 담당하는 금강 권역의 보령댐은 지난해 8월 이후 12월까지 유역 강우량(412㎜)이 예년의 67% 수준에 그쳐, 1월 2일부터 가뭄 '관심' 단계에 진입해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가뭄 상황을 관리하고 있다.

'관심' 단계에 진입한 다음 날부터 도수로를 통해 금강에서 하루 11만 5000톤의 물을 보령댐에 공급하고 있으며, 홍수기 전까지 보령댐의 용수공급 문제는 없을 전망이다.

한편, 기상청이 지난해 12월에 발표한 3개월 기상 전망에 따르면, 올겨울 강우량은 대체로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은 수준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환경부는 댐 수위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주기적 유입량 분석 등 철저한 저수량 관리로 용수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대비하고 있다.

김구범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과학적이고 선제적인 댐 운영을 통해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해 국민 생활과 경제 활동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환경부 수자원개발과(044-201-7689),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운영처(042-629-3506)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