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수색·구호에서 택배까지…드론 상용화 시대 ‘성큼’

국토부, 영월서 비가시·고고도·시가지 비행테스트 공개 시연회

2016.11.17 국토교통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국토교통부는 16일 영월 시범사업 공역에서 수색 및 구호품 배송 등 조난상황 발생 시 드론 활용 방안과 물류 배송 비행테스트로 구성된 공개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특히 이번 시연회는 최장 4km·최대고도 450m·시가지(영월읍 지역)상공 등 현행 항공법상 제한되는 비행 시연으로 이뤄졌다.

현재 항공법에서는 인구밀집지역, 가시권 약 1km 밖·고고도 150m 이상 비행을 제한하고 있으나 시범사업에 한해 예외적으로 비행을 허용하고 있다. 

또한 시범사업 참여업체 중 CJ대한통운은 올 11월부터 국내 최초로 물류배송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

서비스 지역은 영월 시범사업 공역 내인 영월영업소~농업기술센터 왕복 5.2km에서 이뤄진다. 주 2회간 소형 물류 1kg 이하 배송을 통해 운영 개선사항 도출과 함께 실 배송사례 등을 확보할 예정이다.

드론을 활용한 불법어로, 밀수, 불법침입, 조난구조 등 해안선, 접경지역 안전관리 및 적조 등을 관측한다.(제공=국토교통부)

드론에 화물운반용 키트인 '5kg 이내 택배 상자'를 부착해 사업지역 내 설정된 5km 이내 거점 간의 운반 시험.(제공=국토교통부)


조난지역 대처 시연은 수색·통신망 구축·구호물품 전달 등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종합적 비행테스트로 그동안 미국 아마존·구글, 독일 DHL, 중국 알리바바 등 글로벌 기업들이 진행해 온 비행테스트 수준을 상회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신규 비즈니스모델 발굴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과 함께 ‘드론규제혁신 및 지원 방안’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있다.

지난 7월 4일부터 사업범위의 네거티브 전환 및 소형 드론(25kg이하) 자본금 요건 폐지, 6개월 단위 장기 비행 승인 도입, 비행승인 면제 범위 확대(12kg→25kg이하) 등 항공법 시행규칙을 개정·시행했다.

또한 드론 시장의 초기 수요 창출을 위해 공공분야의 선제적 드론 도입을 적극 추진 중이다. 토지보상업무(LH), 지적재조사사업(LX), 댐·하천 관리(수공, 국토청) 등 몇몇 공공분야에서는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점차 활용범위·업무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그 결과 사용사업 등록업체 수가 698개→962개로 작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창업활동이 활발해짐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조종자격 취득자도 872개→1216개로 크게 증가했다.

드론 활용사업의 규모뿐 아니라 분야도 확대되고 있다. 농업용 위주로 활용되던 드론은 최근 영상촬영, 건축물하자·안전진단, 측량, 관측 등의 분야에서도 활용 중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시연회는 택배, 수색·구호 등 드론의 유망 활용 분야에서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고 앞으로도 업계가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실질적 지원을 위해 드론활용 비즈니스 모델 발굴, 제도 개선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면서 “야간·비가시 비행을 허용하는 특별운항허가 제도 등을 검토 중으로 빠른 시일 내에 드론택배, 야간 방송중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이 상용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국토교통부 첨단항공과 044-201-424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