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이 기상 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대책을 내놓았다.
기상청은 29일 장마철 강수량 예보 및 중기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단기 및 중·장기 대책을 발표했다.
기상청은 먼저 올해 여름철 부정확한 예보에 대해 유례없는 패턴(블로킹에 의한 대기흐름 정체, 150년에 한 번 나타날 수 있는 폭염)으로 수치모델 예측성이 낮아졌고 예보관의 수치예측 결과보정 한계성이 노출된 것을 주요 요인으로 분석했다.
유례없는 패턴은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상 현상의 빈발이 현재화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예보관의 사전학습 부족 및 심층연구 미흡, 수치모델 예측성능 개선 한계점 등 사전대비가 미흡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기상청은 이러한 반성을 토대로 향후 10년 이내 강수예보 정확도를 현재 92%에서 95%로, 장마철 강수예보 정확도를 85%에서 90%로 올리고 100여명의 유능한 예보관 인력풀을 확보할 수 있는 단기 및 중·장기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즉시 또는 내년 상반기까지 실행할 단기대책은 치밀한 분석 강화에 초점을 두었다.
강수를 전문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단기예보전문분석관과 기온을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중기예보 전문분석관제를 도입한다.
퇴직 기상인 중 예보경력이 20년 이상이고 예보능력이 뛰어난 예보자문관 위촉을 지방청까지 확대하고, 매일 오후 2시 30분에 개최하는 예보브리핑의 참석범위를 청내 모든 전문가로 확대한다.
유능한 예보관 확보를 위해 예보관 자격제를 실시한다. 예보관을 4등급으로 분류해 직급별 경력, 자격요건, 교육훈련을 이수한 자로 임명하고 자격유지 요건을 명시해 공모를 통해 선발한다.
또한 직급별 교육기간, 커리큘럼, 해외훈련기간 등을 차등화시켜 기상선진국 전문교육기관에 장기파견 교육하고 전체 예보관 20%의 상시 교육을 위해 1개조를 더 추가해 일정기간(3~4개월) 교대근무 후, 1개월 정도 주간근무를 실시한다.
적극적인 소통 강화 방안도 마련했다.
외부 전문평가 기관에 의뢰해 예보업무 전반에 관한 객관적 평가(예: 특보체계의 적정성, 예·특보 시행에 따른 수요자 만족도 등)를 실시하며 위험기상 예상 시에는 예보브리핑에 언론기관 참석을 허용한다.
중장기대책으로는 특이기상연구센터를 지정·운영(2017년에는 장마와 폭염 분야)해 이상기상(장마, 집중호우, 황사, 폭염·한파, 대설, 태풍 등)에 대한 연구개발을 강화하며 현재 개발 중인 한국형 수치모델 현업화(2019년)를 통해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이상기상현상에 최적화된 수치예측기술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한·중·일 실시간 레이더자료 공유(2017년 이후), 저궤도 기상위성 자체 개발(2022년 이후), 선박 및 항공기를 이용한 기상관측 확대(2017년 이후) 등을 통해 공백지역의 관측 자료를 보강하고 역량있는 예보관이 자긍심을 갖고 예보분야에 장기간 근무할 수 있는 평생예보관 제도를 도입·추진할 방침이다.
예보정확도의 향상에는 과학적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현재 기상현상 예보체계를 발생 가능성과 사회경제적 영향(노출 및 취약성 포함)을 동시에 고려한 영향예보체계로 전환하며(2020년) 인공지능을 활용한 유사일기도 검색 기능 개선, 빅데이터를 이용한 예보기법 개발, 예보관 훈련용 학습기계 개발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2020년 이후).
기상청은 “이러한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해 예보정확도 향상에 대한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고 소통을 강화해 기상정보가 국민의 안전과 삶의 질 향상에 잘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