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탄소중립] ④ 일상 속 '자원순환' 실천 수칙

2025.02.12 정책브리핑·환경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편집자 주지난해 우리 바다의 평균 표층 수온이 관측 사상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초래되는 지구의 심각한 기상이변, 해수면 상승, 생태계 변화, 식량 위기, 경제활동 위축 등은 미래 인류의 생존까지 위협할 수 있다.

조금 불편해도, 지구를 위해 에너지 절약을 실천했던 적이 있나요? 탄소중립 사회 전환은 우리의 작은 생활습관의 변화로부터 시작된다.

정책브리핑환경부는 일상 속에서 지킬 수 있는 탄소중립 생활실천 시리즈(가정편)를 총 5회에 걸쳐 소개한다.

일상 속 '자원순환' 실천 수칙은 다음과 같다.

1. 비닐 사용 줄이기

- 편의점, 전통시장 등으로 물건 구매하러 갈 때 장바구니 들고 가기
- 낱개 또는 겉에 물기가 없는 과일·채소 구매 시 속 비닐 사용하지 않기
- 1회용 비닐 랩 대신 다회용 랩(실리콘 랩 등) 사용하기
- 우산은 휴대하기 간편한 빗물 방수커버, 빗물받이 캡 사용하기
- 상자 포장 시 비닐 테이프, 에어캡 대신 종이 테이프·완충재 사용하기
- 장바구니 대여 서비스 이용 시 깨끗하게 쓴 뒤 반납하고, 개인용 장바구니는 최대한 오래 사용하기

2.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 식단계획과 유통기한을 고려해 최소한의 식재료만 구입하기
- 식재료는 소분하여 투명 용기에 보관하기
- 음식은 인원에 맞춰 주문하고, 먹지 않을 반찬은 사전에 반납하기
- 길거나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는 잘게 썰어 배출하기
- 찌개류는 국물을 버리고, 찌꺼기의 물기를 제거한 후 배출하기

3. 음식 포장·배달 시 1회 용품 사용 줄이기

- 배달 앱에서 1회용 수저, 포크를 받지 않도록 설정하기
- 배달 음식은 다회용기로 주문하기
- 1회용기 대신 다회용기에 음식 포장하기
- 다회용기 사용을 장려하는 '용기 내' 캠페인 동참하기

4. 1회용 컵 대신 다회용 컵 사용하기

- 실내에서는 개인 컵을 사용하고, 외출할 때는 텀블러 사용하기
- 커피전문점 등에서 텀블러로 음료 구매하고, 탄소중립포인트 적립 받기

5. 컵 홀더 사용 줄이기

- 텀블러 및 다회용 컵으로 음료를 구매하고, 1회용 컵 홀더 사용하지 않기

재활용하며 탄소중립 실천하는 모습.

6. 물티슈 덜 쓰기

- 식탁은 행주로 닦고, 바닥은 걸레로 청소하기
- 음식을 먹기 전에 물티슈 대신 화장실에서 손 씻기
- 외출할 때 손수건 가지고 다니기

7. 종이 타월, 핸드 드라이어 대신 개인 손수건 사용하기

- 손을 씻은 후 물기를 털어내고, 개인 손수건 사용하기

8. 인쇄 시 종이 사용 줄이기

- 인쇄 시 양면인쇄, 모아 찍기, 흑백인쇄 등의 기능 설정하기
- 문서를 출력하면 잉크가 번져 글꼴의 구멍이 채워지는 에코폰트 사용하기

9. 전자 영수증·청구서 이용하기

- 대형마트, 백화점에서 물품 구매 후 전용 앱으로 전자 영수증 받기
- 불필요한 종이 영수증·청구서 받지 않기
- 전자 영수증 발급받고, 탄소중립포인트 적립 받기

10. 재활용을 위한 분리배출 실천하기

- 재활용품별 분리배출 방법에 따라 올바르게 분리배출하기

▲ 골판지상자
- 택배송장, 테이프, 알루미늄박, 철핀 등 다른 재질을 제거한 후 접어서 배출

▲ 종이팩
-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하고 말린 후 배출
- 종이팩과 다른 재질은 제거한 후 배출

▲ 무색(투명) 생수·음료 PET병
-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부착 상표(라벨) 등을 제거한 후 가능한 압착하여 뚜껑을 닫아 배출

▲ 기타 플라스틱류
- PET, PE, PP, PS, PSP 재질 등의 용기·트레이류
- 이물질·물기 제거 후 본체와 다른 재질은 제거한 후 배출

▲ 비닐류·유리병·금속캔류
-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

▲ 전지류
- 전지를 제품에서 분리하여 배출
- 주요 거점에 비치된 수거함에 배출 또는 지정된 전지류 수거일·장소에 배출

▲ 폐식용유
- 이물질이 섞이지 않게 모아 지자체 또는 민간 재활용사업자가 마련한 수거장소, 전용 수거함 등에 배출

※ 단, 지역별 구체적인 분리배출 품목 및 배출 방법은 해당 지자체 조례로 규정
※ 재활용품으로 오해하기 쉬운 품목은 지자체 조례에 따라 종량제봉투 등에 담아 배출

생활 속 자원순환 실천 수칙

정책브리핑 최재련

<자료=환경부 '탄소중립 실천포털'>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