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탄소중립 시대의 산업혁명, 기후테크

[탄소중립·녹색성장이야기] ⑤기후테크(연재 끝)

2024.10.14 정수종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편집자 주대통령 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지난 2년간 제1기 민간위원으로 활동해 온 각 분야 전문가들이 과학적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쓴 ‘탄소중립·녹색성장 이야기’ 연재를 2일부터 시작했습니다. 정책브리핑은 탄소중립에 대한 국민 이해를 돕기 위한 취지에서 이 중 몇 편의 글을 공동 게재키로 했습니다.
기후테크는 기후변화 대응 그 자체뿐 아니라 전 세계 무역 및 경제 질서의 논의에 있어서도 주요한 아젠다로 부상하고 있다. 기후테크가 단순히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기술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친환경 경제체제를 통해 지구의 미래를 담보할 수 있는 진짜 ‘수단’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정수종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정수종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지금 전 세계가 경제성장과 탄소의 탈동조화(decoupling)를 이루어낼 수 있고 기후위기시대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산업을 찾아 나섰다. 바로 그것이 기후테크다.

2023년 ‘대통령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는 기후테크를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기후완화기술이나 기후변화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후적응기술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이라 정의하였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후테크를 바라보는 시선이 뜨겁다.
많은 국가는 자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래서 이 많은 양의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시장에 등장해 빠르게 확산되어야 하는 현실이다.

이뿐만 아니라 지금 당장 탄소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 하더라도 기후변화는 날로 심해질 것이기 때문에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과 산업을 빠르게 육성시켜야 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후테크를 분류하는 기준에 대한 표준이 특별히 없기 때문에 국가마다 조금은 다른 분류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탄녹위에서 기후테크를 클린테크(Clean Tech), 카본테크(Carbon Tech), 푸드테크(Food Tech), 에코테크(Eco Tech), 지오테크(Geo Tech)의 5개 분야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기후테크 기업은 어느 회사일까 궁금할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아직 한국의 기후테크는 걸음마 수준이기 때문에 5대 분야 중 한국을 대표하는 기후테크 유니콘 기업(기업가치가 10억 달러(약 1조원) 이상이고 창업한지 10년 이하인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은 없다.

한국에서는 없지만 다른 국가의 기후테크 유니콘들을 보면, 탄소를 포집하는 ‘클라임웍스’,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을 하는 ‘루비콘’, 기업들의 탄소 측정 및 보고를 위한  탄소회계 프로그램을 만드는 ‘워터쉐드’ 등이 있다.

다른 분야의 유니콘인 우버와 달리 아무래도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한 이름들이다. 그러나 결국 우리의 미래, 지구에서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서는 기후테크 유니콘이 더 많이 나오고 더 이 분야가 유명해져야 하는 상황이다.

기후테크는 기후변화 대응 그 자체뿐 아니라 전 세계 무역 및 경제 질서의 논의에 있어서도 주요한 아젠다로 부상하고 있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억제하기 위해 미국이 주도하여 2022년 5월에 설립한 다자경제협력 체제인 인도 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는 2024년부터 200조원 규모의 역내 청정경제 분야 협력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면서 기후테크를 전면에 내세웠다.

IPEF의 청정경제 협정에는 참여국들이 청정에너지원을 포함하여 에너지 생산 과정에서부터 탄소 저감기술, 탄소 거래시장에 이르는 산업 전 단계에서 기술, 규범, 표준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어쩌면 지금까지 각 국가들이 개별적으로 진행했던 기후테크가 IPEF의 청정경제 협정을 통한 표준화를 통해 좀 더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전 지구 기후변화 대응 ‘수단’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 것이다.

기후테크가 단순히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기술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친환경 경제체제를 통해 지구의 미래를 담보할 수 있는 진짜 ‘수단’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결국, 우리나라의 미래, 더 나아가 지구의 미래를 위해서 인류는 다시 한번 기술혁신을 통한 새로운 산업혁명을 일으켜야 한다. 재차 강조하지만, 그 새로운 혁명은 기후테크가 주인공일 것이다. 한국의 우수한 과학기술을 더 발전시키고 스케일업하여 카본, 클린, 에코, 푸드, 지오테크 모든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기후테크 기업이 탄생해야 하는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전쟁을 경험한 세대는 아니지만, 처참했던 역사의 증거를 통해 충분히 깨닫고 있다. 전후 아프리카의 최빈곤국보다 못한 나라였던 한국은 지금 세계적인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다. 그래서 우리는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그동안 자원이 부족해서 힘들었고, 그러한 힘든 상황에서도 지금의 경제 수준을 만든 위대한 저력으로 세계 최고의 기후테크 기업이 나오길 바란다.
이를 위해 정부, 지자체, 기업, 민간이 협력하여 교육, 투자, 제도가 뒷받침되는 기후테크 생태계가 구축된다면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 ‘정수종 교수의 기후테크 전체 글 보러가기

☞ 더 많은 ‘탄소중립·녹색성장 이야기’ 보러가기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