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0회 서해수호의 날

제10회 서해수호의 날

제10회 서해수호의 날

제10회 서해수호의 날

제10회 서해수호의 날

제10회 서해수호의 날

제10회 서해수호의 날

2025년 3월 28일 금요일은 제10회 서해수호의 날입니다.
서해에서 발생한 북한과의 전투 중 우리 군의 희생이 가장 컸던 천안함 피격사건(2010. 3. 26.)을 기준으로 서해수호의 날을 3월 넷째 금요일로 지정.
'서해수호의 날'은 북한의 도발에 맞서 목숨을 바친 55 영웅을 추모하고 참전장병의 공헌을 기리는 날입니다.
■ 제1연평해전(1999. 6. 7. ~ 15.)
6월 7일 경비정 1척이 북방한계선(NLL) 침범.
북한 함정의 선제 기습공격에도 불구하고 우리 해군은 14분여 만에 북한 함정을 격퇴하는 승리를 거둠.
■ 천안함 피격사건(2010. 3. 26.)
백령도 서남방 2.5km 해상, 임무수행 중 북한 잠수정의 기습어뢰 공격으로 46명이 전사하고 58명이 구조, 구조작업 중 1명 전사.
■ 대청해전(2009. 11. 10.)
대청도 동방 해상에서 북한경비정이 NLL을 침범하여 우리 고속정에 먼저 사격을 가해 옴에 따라 우리 함정이 즉각 대응하여 격퇴.
■ 제2연평해전(2002. 6. 29.)
2002월드컵이 한창이던 여름, 북한의 악의적 기습공격으로 정장 윤영하 소령 등 6명이 전사, 19명이 부상을 입었지만 불굴의 투지와 정신력으로 NLL을 사수.
■ 연평도 포격전(2010. 11. 23.)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에 기습 포격을 가한 북한에 맞서 우리 해병대가 K-9자주포로 즉각 대응해 승리한 전투.
2025년 3월 28일 금요일은 제10회 서해수호의 날입니다.
서해에서 발생한 북한과의 전투 중 우리 군의 희생이 가장 컸던 천안함 피격사건(2010. 3. 26.)을 기준으로 서해수호의 날을 3월 넷째 금요일로 지정.
'서해수호의 날'은 북한의 도발에 맞서 목숨을 바친 55 영웅을 추모하고 참전장병의 공헌을 기리는 날입니다.
■ 제1연평해전(1999. 6. 7. ~ 15.)
6월 7일 경비정 1척이 북방한계선(NLL) 침범.
북한 함정의 선제 기습공격에도 불구하고 우리 해군은 14분여 만에 북한 함정을 격퇴하는 승리를 거둠.
■ 천안함 피격사건(2010. 3. 26.)
백령도 서남방 2.5km 해상, 임무수행 중 북한 잠수정의 기습어뢰 공격으로 46명이 전사하고 58명이 구조, 구조작업 중 1명 전사.
■ 대청해전(2009. 11. 10.)
대청도 동방 해상에서 북한경비정이 NLL을 침범하여 우리 고속정에 먼저 사격을 가해 옴에 따라 우리 함정이 즉각 대응하여 격퇴.
■ 제2연평해전(2002. 6. 29.)
2002월드컵이 한창이던 여름, 북한의 악의적 기습공격으로 정장 윤영하 소령 등 6명이 전사, 19명이 부상을 입었지만 불굴의 투지와 정신력으로 NLL을 사수.
■ 연평도 포격전(2010. 11. 23.)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에 기습 포격을 가한 북한에 맞서 우리 해병대가 K-9자주포로 즉각 대응해 승리한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