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가업상속공제, 지난해 세법개정으로 크게 확대

2023.06.12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국민적 공감대를 토대로 유산취득세 도입을 추진하려는 것이며, 가업상속공제는 작년 세법개정으로 크게 확대됐다”고 밝혔습니다.

6월 9일 매일경제<상속세 개편 뭉개기…기업이 운다>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2023.6.9. 매일경제(가판)는 「상속세 개편 뭉개기…기업이 운다」기사에서,

ㅇ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상속세 개편이 내년으로 미뤄지게 됐다. 세제 개편의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가 “너무 큰 작업”이라는 이유로 올 하반기에 상속세 개편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며,

ㅇ “정부가 개편 작업을 차일피일 미루면서 상속세 폭탄을 맞고 휘청이는 기업이 속출하고 있다. 최대 60%에 달하는 상속세율과 실효성 없는 가업상속공제라는 징벌적 상속세제 때문에 사실상 대부분의 기업 승계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보도했습니다.

[기재부 입장]

① 조세개혁추진단은 지난 2월 24일 출범하여 현행 유산세 방식의 상속세 체계를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전환을 추진하면서 유산취득세 전환에 따른 법률적 쟁점 검토 및 연구와 더불어 국민적 공감대 하에 제도를 개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② 현행 상속세법은 1950년 제정된 이래 현재까지 유산세 체계로 과세하고 있는바, 유산취득세 체계로의 전환은 70년 이상 유지되어 온 상속세 체계의 전면 개편이므로 국민적 공감대 및 사회적 합의를 토대로 추진할 필요가 있습니다.

ㅇ 우리 사회에는 부의 원활한 이전을 통해 경제의 선순환을 유도하기 위해 상속세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는 반면, 부의 재분배 및 기회 균등을 위해 상속세를 유지하거나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도 상존하고 있습니다.

ㅇ 따라서 상속세 개편 필요성에 대한 건설적 논의를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하면서 차근차근 정책 방향을 세워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③ 또한 최근에 유산취득세 도입을 위한 연구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법률적 쟁점이 다수 제기되고, 외국 사례도 더욱 철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어 연구용역이 당초 예정보다 지연되고 있습니다.

ㅇ 이에 따라 정부는 추가 연구용역 등을 통해 과세체계 전면 개편으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점을 면밀히 검토한 후 개편을 준비할 예정입니다.

④ 가업상속과 관련해서는 ’22년 세법 개정을 통해 세대 간 기술·노하우·자본 이전 촉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업상속·승계 관련 세제를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이미 개편하였습니다.

ㅇ 금년부터 ‘가업상속공제’와 ‘증여세 과세특례’의 적용대상* 및 공제한도**를 확대하고, 사후관리도 완화***하는 등 세제지원을 강화하였습니다.

* 중견기업 적용 대상 : (종전) 매출액 4천억원 미만 → (개정) 5천억원 미만

** 가업상속공제(억원) :

(종전) 업력 10년 이상 200 / 20년 이상 300 / 30년 이상 500

 → (개정)               300 /              400 /          600

*** 사후관리기간 : 7년→5년

ㅇ 또한, 가업승계 시 상속세·증여세 납부유예 제도를 신설하여, 납세자의 납부방식에 대한 선택의 폭을 확대하였습니다.

ㅇ 특히, 종전 중소기업에 대해서만 ‘최대주주 주식 할증평가’를 배제하던 것을, 매출액 5천억원 미만 중견기업도 적용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ㅇ 따라서 유산취득세 도입이 다소 늦어지더라도 확대된 가업상속공제·증여세 과세특례, 상속세·증여세 연부연납 및 납부유예 제도 등을 활용하여 기업을 원활하게 승계할 수 있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조세개혁추진단 상속세개편팀(044-215-4360), 세제실 재산세제과(044-215-431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