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기재부 “올 1분기 재정, 내수 활성화 위한 민생사업 중심 집행”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24.1분기 재정집행은 민생·내수 활성화를 위한 것이다”라고 밝혔습니다.

10월 7일 국민일보 <기재부, 정치개입?...총선 임박해 돈 팍팍 풀었다>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① 2020년 4월에 총선이 있었지만 2·3월 재정 집행률이 평년과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고 하면서, 올해는 총선에 임박하여 돈을 팍팍 풀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② (올해) 2·3월 무리한 조기집행의 결과로 2분기 역성장이 발생했을 수 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③ 상반기에 재정을 몰아 써 하반기 경기 부양을 위한 수단이 줄어들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며, 하반기에 쓸 예산은 줄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기재부 설명] 

□ 정부는 고금리·고물가 등으로 내수*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서민 체감 경기 개선, 상반기 내수 활성화를 위해 민생사업(약자복지·일자리·SOC분야) 중심으로 집행하였습니다.

  * (’24.1분기) 설비투자 △0.2%p, (’24.2분기) 민간소비 △0.1%p, 건설투자 △0.3%p 등

 ㅇ 참고로 신속집행 대상사업의 2024년 1분기 집행률은 예년보다 높은 수준이나 집행규모는 2020년보다 적었습니다.

< ‘20, ’24년 집행현황 비교 (단위 조원, %) >

 

연간계획(a)

1분기 집행액(b)

집행률(b/a, %)

2020

305.5

108.6

35.3

2024

252.9

106.0

41.9


□ 2024년 2분기 경제성장률이 민간소비·투자 부진 등으로 △0.2%로 역성장하였으나, 정부기여도는 작년보다 개선*되었습니다.

 ㅇ 따라서 2024년 1분기 조기집행 결과로 인해, 2분기 경제가 역성장하였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 

 * 정부기여도: (’23년 2분기) △0.2%p → (’24년 2분기) 0.0%p

□ 신속집행 대상사업은 전체 총지출 예산의 약 40% 수준*이며,

  * ’24년 비중(38.3%) : 신속집행 252.9조원 / 총지출 661.0조원

 ㅇ 올해 상반기 신속집행률은 66.2%를 달성하였으나 총지출 기준 상반기 집행률은 56%로 예년과 유사*한 수준입니다.

  * 상반기 집행률(총지출 기준) : (’20년) 56.2% (’21년) 55.6% (’22년) 57.8% (’23년) 54.8% (’24년) 56.6%

 ㅇ 따라서 신속집행이 하반기 가용예산 부족으로 이어진다고 볼 수 없습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국 재정지출관리과(044-215-533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