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비급여 정보 포털로 진료 항목 투명하게 확인

의료 선택권 넓히고, 불필요한 진료 부담 줄이는 '비급여 정보 포털'
치료명 또는 질환명 검색하면 자세한 정보 나와

2025.04.29 정책기자단 유혜린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A 약이랑 B 약이 있는데 효능은 둘 다 같지만, A 약은 급여, B 약은 비급여라서 A 약을 쓰려하는데, 괜찮으실까요?"

몇 달 전 병원에서 실습하면서 담당의 선생님이 환자에게 하신 말씀을 들었다.

나중에 환자분께서 내게 왜 효능이 같은데 어떤 건 급여고 어떤 건 비급여 약물이냐고 물어보셨지만, 나도 정확히 알지 못해 제대로 답해드리지 못했다.

이처럼 병원에 입원한 적이 있거나 보호자가 되어본 경험이 있다면, 급여와 비급여에 대해 한 번쯤은 들어봤거나 궁금했던 적이 있을 수 있다.

이제는 이 같은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될 서비스가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운영하는 "비급여 정보 포털"이 4월 10일부로 개설되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간단한 검색만으로 다양한 비급여 진료 항목의 정확한 가격과 효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1
비급여 정보 포털의 접속하면 첫 번째로 볼 수 있는 화면이다.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비급여 정보 포털)

◆ 급여와 비급여

먼저 급여와 비급여에 대해 간단히 말하자면, 급여는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는 진료 항목을 말한다.

반대로 비급여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정해진 금액"이 없는 항목으로, 환자가 그 금액을 전액 지급하는 치료를 말한다.

대표적으로는 예방접종, 도수치료, 진단서 발급 비용 등이 있다.

(물론 급여 대상 치료라고 해도,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현재 환자의 상태에 필요하지 않은 치료라면 비급여로 청구될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 보니 비급여 진료는 그 가격과 치료 내용이 제각기 달라서, 환자나 보호자로서는 그 가격이 적정한 것인지 알기 어려웠다.

즉 비급여 항목에 해당하는 진료를 볼 예정이라면, 근처 병원에 전부 전화를 돌리거나 직접 방문하여 가격을 물어봐야 했으나, 이제는 온라인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 알고 받는 비급여 - 항목별 가격 정보

첫 번째로 [알고 받는 비급여] 탭으로 들어가면, '항목별 가격 정보'를 알 수 있다.

나는 최근에 병원에서 권유받은 '도수치료'의 정보가 궁금해 검색해 보았다.

그러면 사진과 같이 지역별 가격 정보(평균, 중앙, 최고, 최저 가격)가 나온다. 

5
항목별 가격 정보에 도수치료를 검색한 결과이다.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비급여 정보 포털)

여기서 내가 살고 있는 경기지역을 누르면, 아직 전국의 모든 병원 하나까지 가격을 알 수는 없지만 지역구 별로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도수치료는 꽤 대중화된 치료라 그런지 전체적으로 가격대가 비슷했다.

7
선택한 지역 내 거의 모든 시군구의 일반적인 가격을 알 수 있다.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비급여 정보 포털)

◆ 알고 받는 비급여 – 수술별 진료 정보

또한, 질환에 따른 다양한 수술 정보도 함께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지정맥류 질환의 수술적 치료 방법에 어떤 것이 있는지, 해당 수술의 안전성이나 효과성은 어떤지 등을 간단한 검색을 통해 알 수 있다.

8
하지정맥류라는 질환을 검색해 본 결과. 하지정맥류에 이렇게 다양한 수술법이 있는지 몰랐다.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비급여 정보 포털)
9
단순히 가격만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 수술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안전한 수술인지 등 수술 정보와 가격을 함께 알 수 있다.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비급여 정보 포털)

사실 환자와 보호자 입장에서 제일 궁금한 것은 결국 '내가 내야 하는 비용이 얼마인지?'가 아닐까 싶다.

다행히 총 진료비 구성이 나와 있어서 그 부분도 자세히 알 수 있었다.

1011
급여에 해당하는 수술 1가지와 비급여에 해당하는 수술 1가지를 비교해 보았다.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비급여 정보 포털)

◆ 통계로 보는 비급여 – 주요 비급여 통계

다음으로 [통계로 보는 비급여] 탭에 들어가면, 전반적인 비급여 항목의 통계를 파악해 볼 수 있다.

13
주요 비급여 통계 탭에 들어가면 보이는 다양한 통계들.
비급여 진료비가 가장 많은 과목은 치과였다.
아무래도 교정이나 크라운 같은 치료는 보험 처리가 안 되어서 그런가 보다.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비급여 정보 포털)

◆ 통계로 보는 비급여 – 비급여 항목별 통계

이번에는 항목별 통계에서 도수치료를 들어가 보니, 도수치료는 의원급 병원에서 더 많이 이루어지는 치료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검색한 치료가 어떤 진료 과목에서 주로 이루어지는지, 어떤 성별과 연령대가 자주 이용하는지도 함께 알 수 있었다.

확실히 이러한 통계를 볼 수 있으면 치료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겠다 싶었다.

16
비급여 항목별 통계를 통해 도수치료를 검색해 본 결과.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비급여 정보 포털)

나는 도수치료라는 질환에 대해 검색해 보았지만, 위 포털에는 1,064가지의 비급여에 대한 정보가 나와 있으니 혹시 궁금했던 비급여 치료나 수술 정보, 질환별 특징이 있다면 한 번 포털에 들어가 직접 검색해 보는 것도 추천한다.

급여와 비급여를 떠나 그냥 이번 기사를 본 김에 자신의 건강 상태를 간단히 확인해 보고 싶다면, 건강보험공단의 건강 모아 누리집을 방문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 건강보험공단 건강 모아 누리집 바로가기 www.nhis.or.kr

◆ 건강보험공단 - 건강 모아

건강 모아의 '건강 자료실'에 들어가면, '자가 건강진단'이 가능하다.

다양한 증상에 따른 결과와 진료과도 찾아볼 수 있고, 당뇨나 고혈압, 암과 같은 질환의 자가 진단을 시행하면 나의 위험 단계도 알 수 있다.

18
요즘 두통이 심해 타이레놀을 자주 먹어서 증상을 클릭해 봤더니 '카페인'이라는 글자가 유독 눈에 띄었다.
커피를 좀 줄일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출처: 건강보험공단 누리집, 건강 모아)
17
할머니가 당뇨를 앓고 계셔서 당뇨병 자가 진단을 해봤다.
다행히 특별한 증상은 없다고 하지만, 역시 생활 속에서 꾸준히 관리해야겠다는 다짐했다. (출처: 건강보험공단 누리집, 건강 모아)

비급여 정보 포털을 통해 가격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치료법과 수술 정보도 알아보면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때 더욱 현명하고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나아가 건강보험공단 누리집의 '건강 모아' 서비스로 평소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습관까지 들인다면, 막연한 불안감을 덜고 주체적인 건강 관리에 큰 힘이 되지 않을까 싶다.

☞ 건강보험공단 건강 모아 누리집 바로가기 www.nhis.or.kr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유혜린 road0705@naver.com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