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우울증 자가검진, 휴대폰 열고 30초만에 시작

'국립정신건강센터' 카카오톡 채널로 마음 건강 챙기기

2025.04.15 정책기자단 권소영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요즘 길거리를 걷다 보면 만개한 벚꽃에 마음이 설레곤 한다.

어느덧 봄의 중반에 도달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지 않을까.

봄은 꽃이 피어나는 시기이기에 계절 중 가장 화사한 계절이라고만 생각해 왔었다.

사실 봄(3~5월)은 스프링 피크(Spring Peak)라는 현상이 있을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삶을 마감하는 비율이 높은 계절이다.

4월의 대표적인 풍경, 벚꽃이 가득 펼쳐졌다.
4월 하늘을 수놓은 벚꽃.

겨울을 지나 봄이 되며 일조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생체 리듬의 변화로 감정 조절에 어려움을 겪기 쉽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실제로 2023년도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 결과에서도 3월~5월 자살 사망자 수가 많이 발생했다고 한다.

취업 준비생의 관점에서는 봄의 화창한 모습과 다른 어두컴컴한 현실을 자각할 때 우울증을 겪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필자와 같은 상황만이 아니라 저마다의 무거운 고민을 짊어지고 살아가는 현대인분들을 위한 기사를 작성하고 싶었다.

그때 마침! 작년에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마음 건강 자가검진 서비스이자 국립정신건강센터와 카카오헬스케어가 협업하여 제작한 '우울증 자가검진' 챗봇 서비스를 찾게 됐다.

직접 해당 서비스를 이용해 보며 생생 후기를 전하려고 한다.

국립건강정신건강센터 유튜브 에서 게시한 마음건강 챗봇 서비스 (사진 출처: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유튜브)
국립건강정신건강센터 유튜브 에서 게시한 마음건강 챗봇 서비스 (사진 출처: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유튜브)

참고로 위의 영상에서 서비스 내용과 이용 방법 등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 마음건강 챗봇 서비스 이용 방법 보러 가기

국립정신건강센터 카카오톡 채널 화면
국립정신건강센터 카카오톡 채널 화면

우선 카카오톡에서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채널 검색을 하고 채널 추가를 했다.

우울증 자가검진 탭 화면
우울증 자가검진 탭 화면

채널을 추가하면 위 화면처럼 '우울증 자가검진' 탭이 뜬다!

자가검진 시작 전 화면
자가검진 시작 전 화면

탭을 누르고 '우울증 자가검진 시작하기'를 누르시면 검진을 시작하기 앞서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정보를 간단히 입력한다.

특히 검진을 마친 후에는 거주지역정보에 따라 이용자의 정신건강 관련 기관 정보도 제공해 준다는 점이 좋은 것 같다.

질문지
우울증 자가검사 질문지

우울증을 확인할 수 있는 9가지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의 선택지로 답할 수 있었다.

바쁜 현대인들을 고려한 쉽고 빠르게 참여할 수 있는 검진이었다.

우울증 자가검사 결과
우울증 자가검사 결과

9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다 완료하고 나니, 필자는 '우울 증상이 없음'이라는 검진 결과를 받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집 근처의 정신건강 관련 기관에 대한 정보를 받아 볼 수 있어서 유익했다.

가장 헤아리기 어려운 것이 '마음'이라는 것을 어디선가 들은 적이 있다.

그 마음 중에서도 자신의 '마음'을 돌보고 관찰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삶의 숙제인 것 같기도 하다.

다양한 생각과 경험을 지닌 사람들과 둘러싸여 살아가야 하기에 더욱 자신의 마음 건강을 놓치고 우울증을 겪게 될 확률도 높아지는 것 같다.

이 기사를 통해 요즘 유행하는 감기에 조심하실 뿐만 아니라, 마음의 감기도 예방할 수 있으면 좋겠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권소영 shoyoung6856@naver.com

하단 배너 영역